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11만 점이 자라는, 콜롬비아 공중정원
팝뉴스
l
2017.06.16
이용하면 아파트 주민들이 쓰는 물을 재활용해서 식물들에게 공급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양
이면 충분하다고.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남아요!” 전시를 둘러본 기자단 친구들은 한쪽에 마련된 교육장에서 오늘 봤던 다
양
한 유물들을 되짚어 봤어요. 많은 친구들이 인상 깊었던 유물로 ‘카바 신전의 문’을 뽑았어요. 아라비아는 무함마드가 610년 경 메카 지역에서 이슬람을 창시하면서 이슬람 문명의 뿌리가 된 지역이에요. 메카 ... ...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집에서 간단하게 작은 분수를 만들 방법이 있을까요? 하늘로 물 뿜는 분수를 만들 다
양
한 방법을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에 올려 주세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개인에 따라 그 폭이 크다. 이는 사람마다 소화효소 유전자의 유형과 발현량이 다르고 영
양
섭취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장내미생물의 조성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나나와 쿠키의 경우 언뜻 생각하면 바나나가 혈당지수가 낮을 것 같지만 그 반대인 사람도 있다. 심지어 사람에 따라서는 ... ...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
과학동아
l
2017.06.12
● 더 읽을거리 패트리샤
양
외, 배변의 유체역학 (doi:10.1039/C6SM02795D) 패트리샤
양
외, 소변 누는 시간은 몸집에 따라 바뀌지 않는다 (doi:10.1073/pnas.1402289111) 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2016.6)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6N03 ...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⑤] 기초연구 자유공모 2배 확대, 남겨진 과제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특정 연구기관에 소속된 극소수의 과학자들에게 기초연구비를 집중 투자하는 것은 다
양
하고 도전적인 연구를 지원한다는 기본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여전히 정부는 기초연구 지원에 있어서도 실패할 가능성이 낮은 길을 선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기적 성과 중심의 현행 평가 ... ...
[때와 곳 9] 공중전화 부스: 통화를 사는 곳
2017.06.10
닫고는 안에서 땀을 뻘뻘 흘려가면서 통화를 하는 사람도 있었다. 또는 그곳이 흡연실인
양
담배 연기를 자욱이 피운 채 보고 싶은 마음의 종이비행기를 수화기로 날려 보내는 청춘도 많았다. 당시에는 한정된 통신기기를 시민들이 함께 사용해야 했기에 곳곳의 공중전화 부스에는 날마다 여러 ... ...
자녀의 키를 키울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
2017.06.10
장점이 있는 달걀, 아이들에게 먹이지 않을 이유가 없겠지요? 물론 좋다고 너무 많은
양
을 먹이면 콜레스테롤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있다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하루 한 알의 달걀로 우리 아이 키를 한 뼘 더 키울 수 있길 바랍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지 ‘소아과학’에 발표되었습니다 ... ...
‘티끌 물’ 모아 ‘큰 가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9
잘 모아두는 것도 중요하다. 큰 댐이나 보에서 모을 수도 있지만 산림 관리를 잘해 토
양
과 대기가 머금은 수분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 동유럽 슬로바키아는 2010년 10월부터 ‘자연 복원화와 통합하천 유역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농지를 만들고 산림을 벌채한 뒤 가뭄과 홍수가 자주 ... ...
[카드뉴스] 비, 커피, 만년필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7.06.08
몸을 굽히고 걷거나 뛰면 비를 덜 맞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뚱뚱한 사람은 위에서 맞는
양
이 많아 무조건 빨리 뛰는게 상책입니다. 한편 옆에서 부는 바람 세기에 따라 비를 덜맞는 적당한 속도가 사라지기도 합니다. 비가 몸 옆쪽에서 들이칠 경우 피할 도리가 없으니 빨리 달릴수록 비를 덜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