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과학동아 l2007년 10호
- 1차 세계대전으로 죽은 사람이 1500만 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놀랄 수치다. 미국 국방병리연구소 제프리 토벤버거 박사는 스페인 독감 사망자가 많았던 이유가 당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자에 큰 변이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2005년 10월 6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조류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에 ...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사신 정두원(鄭斗源, 1581~?)은 명나라 수도에서 돌아와 천리경, 서포, 자명종, 염초화(화약재료), 자목화(목화의 일종) 등 물품을 바쳤다. 천리경은 천문을 관측하고 백리 밖의 적군을 탐지할 수 있다고 했다. 서포는 화승(화약심지)을 쓰지 않고 돌로 때리면 불이 저절로 일어나는데, 서양인 육약한 ...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있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절대거리간섭계시스템을 SLR에 적용하기 위해 중국의 관련 연구소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와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10억분의 1 불확도를 성공적으로 완성한 BUPE 연구단이 10조분의 1 불확도에 도전하는 ‘TUPE’(Center for Trillionth Uncertainty Precision En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나타나면 병에 걸리거나 죽게 되요. 하지만 특별한 경우도 있어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멥쌀 씨앗에 방사선을 쪼인 뒤 심었더니 찹쌀 성분이 많이 포함된 벼가 자랐다고 해요. 이것처럼 저희는 좀 특별하다고 볼 수 있죠! 아니, 아주 많이 특별하죠! 코와붕가!외계에서 온 슈퍼영웅슈퍼맨 탄생 ...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못해 불룩하게 튀어나오죠.”국내 최대 규모의 페트병 생산업체인 효성의 생산기술연구소 김정곤 박사의 설명이다. 탄산음료 페트병 뚜껑을 열면 “치~”하는 소리가 나는데, 병속에 꽉 차있던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면서 내는 소리다. 따라서 제조된 날부터 소비자가 마실 때까지 고압의 내용물을 ...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도 중요한 이유다. 2006년 12월 11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에임스 연구소는 ‘진샛-1’(GeneSat-1)이라는 무게 4.5kg의 ‘트리플 큐브샛’(큐브샛 3개를 이어붙인 모양의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렸다. 대장균 박테리아를 넣은 배양기를 인공위성으로 만들어 우주에 띄운 뒤 ...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치료방법이 없어 한번 걸리면 가족 모두가 고통을 겪는 질병이다. 일본 국립장수의료센터연구소의 다비라 다케시 박사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아밀로이드-β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에 주목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다케시 박사는 바이러스에 아밀로이드-β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삽입했다. ... ...
- 부리와 깃털 가진 '초대형' 공룡?과학동아 l2007년 10호
- 톡톡 털어내던 쭈 싱 박사의 표정이 순간 딱딱하게 굳었다. 중국과학원 척추고동물인류학연구소(IVPP) 쭈 박사는 일본의 한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다큐멘터리에 출연하고 있었다. 시청자에게 용각류 공룡의 뼈를 소개하려던 차였다. 그 순간 그는 자신이 들고 있는 뼈의 생장선이 범상치 않음을 ...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는 증강현실기술을 끌어안으며 유비쿼터스 세상으로 가는 길을 재촉했다.미국 해군연구소와 컬럼비아대가 2004년에 함께 개발한 MARS(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s)는 GPS로 받은 지도정보를 현실공간에 덧씌워 HMD를 통해 보여주는 장치다. 넓은 캠퍼스에 처음 온 사람에게 학교 건물들의 용도나 역사를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리틀펭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물리기도 했어요. 그래도 다행인 건 이제 조금씩 리틀펭귄이 늘고 있다는 거예요. 연구소를 세워서 생태를 연구하고, 나무 상자로 집을 지어 주는 등 사람들이 리틀 펭귄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거든요. 해마다 필립섬 자연공원으로 50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우리들의 행진을 보기 위해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