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날씨 탓에 장보고기지 건설 공사가 계속 지연됐고, 3월까지 기지를 완성하기 위해 300여 명의 건설 인력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달리고 있었다.진동민 1차 월동대장의 마음은 ‘과연 첫 단추를 잘 꿸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가득하다. 어딜 가든 1차 월동대의 목표는 “안전하게 월동을 하며, 기지가 ... ...
- 2014 설 특집 목욕의 신이 알려 주는 목욕의 비밀 5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이게 바로 각질이야. 요즘 같은 건조한 겨울철엔 새롭게 생기는 피부 세포보다 수명을 다한 세포인 각질이 더 많이 생겨서 피부가 허옇게 일어나는 걸 볼 수 있지. 각질이 먼지와 만난 뒤, 모공에서 나오는 피지와 땀구멍에서 나오는 땀과 뒤섞이면 비로소 완벽한 때가 돼.비밀 5 각양각색 동물 목욕법 ... ...
- [매스미디어] 판을 뒤집는자, 최후의 1인이 된다!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연합의 구성원이 이기적인 행동을 할 경우, 결국 협조적 게임 자체가 파기된다고 설명한다. 즉, 참가자들의 이기적인 행동 때문에 게임 자체가 성립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막기 위해 이기적인 행동을 처벌하는 규칙이 필요하다. 하지만 에는 이런 처벌 장치가 별로 없다. ... ...
- PART 1. 응답하라,장보고과학기지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수 있으며, 영하 수십℃에 이르는 남극의 겨울(우리나라는 여름)에도 월동연구대 16명이 상주할 예정이다. 이미 진동민 대장을 필두로 하는 제1차 월동연구대가 조직됐다. 진 대장은 “첫 번째 목표는 무엇보다 안전하게 겨울을 보내는 것이고, 두 번째는 기지 운영을 조기에 정상화하는 것”이라며 ...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기능이 어떻게 프로그램 돼 있느냐에 따라 암세포가 생길 수도, 안 생길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히스톤’ 단백질은 이런 기능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DNA는 히스톤 단백질에 감겨 있는데, 히스톤 단백질에 메틸기(CH3)가 달라붙으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 한 교수는 “히스톤 단백질에 ... ...
- “환경보호에 가장 공헌한 건 석유공학자”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과학동아 애독자 5명이 전공탐색을 위해 최종근 서울대 교수를 찾았다. 최 교수는 “석유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하는데 사실 앞으로도 200년 동안 쓸 수 있다”며 “에너지 문제는 편리한 생활만 추구하는 우리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
- “절친의 양 평생 불변의 법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수준의 몇몇과만 계속 연락을 유지했어요. 또 새로운 절친이 생기면 예전 절친 가운데 한 명과 연락이 뜸해졌답니다. 이 현상은 실험에 참가한 사람 모두에게 나타났지요. 친밀한 관계를 위해서는 시간과 함께 집중력이나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무리 붙임성이 좋아도 주변 모두와 ‘절친’을 ... ...
- 세상에서 가장 독특하고 재밌는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참여했더라고. 그 덕분에 이런 행운도 얻은 것 같아. 파주 문상동초 5학년 진솔 친구는 명예기자와 지구 사랑탐사대, 엽서 보내기 모두 열정적이었지.이 밖에도 섭섭박사님과 함께 과학 실험을 이용한 조별 게임, 어과동 퀴즈 풀기, 보물 찾고 편집부 애장품 받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었지. 201 ... ...
- [뉴스포커스] 2014년은 ‘한국 수학의 해’ 수학, 산업을 이끈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중요한지 알리는 데 힘쓰고 있어요. 물리학은 ‘가속기’를 통해 ‘눈에 보이는 설명’을 할 수 있지만, 수학은 그렇지 않아 대중의 관심을 받기가 어려워요. 하지만 산업수학을 통해 ‘눈에 보이는 수학’을 만들 수 있어 수학자들이 노력하고 있는 거죠. 또 최근 물리학이나 수학, 사회학과 수학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인도어로 진행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그 계기를 마련해 준 4명의 한국 학생 장준명, 박지훈, 신석우, 서준규는 현재 울산대, 포스텍, 매사추세츠공대, 그리고 하버드대에서 교편을 잡고 활약하고 있다. 자기 문화에 대한 애착이 수학과 결합될 때는 배타적인 이유도 없나 보다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