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체가 어떻게 적응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 넓은 시
각
에서 보면, 끊임없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인체의 신비한 능력에 대한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높은 산을 등반할 때 걸리는 고산병을 예방하고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이봉주 선수를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유전자 분리 · 재결합이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즉, 어떤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와 함께 있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전된다는 증거이다독립의 법칙은 2쌍의 ... ...
폐암 감지하는 전자코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수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35명의 폐암환자를 포함한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했다.
각
테스트에는 약 1분 정도가 소요됐고, 전자코는 60명 중 35명의 폐암 환자를 성공적으로 가려냈다. 나탈레 박사는 “전자코 진단기는 너무 간편해 폐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가 재발여부를 집에서 간단히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렇게 잘린 BAC 클론의 위치는
각
조
각
의 말단염기서열을 알아내 어떤 조
각
이 어느 조
각
다음에 오는지 정해진다. 이 방법을 통하면 침팬지 전체 게놈 중 일부분(BAC 클론 말단부분)의 염기서열을 알 수 있다. 컨소시엄은 이를 이미 100% 해독돼 있는 인간게놈의 염기서열과 비교해 과학전문지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연구결과에 따르면 먹이사슬망은 그 연결구조가 단순할 것이라는 기존의 예상과는 달리
각
종들이 꽤나 서로 복잡하고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서 평균적으로 단지 2단계만에 서로 연결이 되는(즉 서로 먹고 먹히는) ‘좁은세상’을 나타내고 있었다.최근 들어 생태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잘 알려져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에베레스트 등반은 육체적인 노력이 가장 많이 필요한 일 중 하나다. 7천6백m 이상의높이(죽음의 고도)에서 모험을 즐기는 대부분의 등산가들은 치 ... 두 직선의 교점 (a, g)를 지나는 인 직선 g'을 대응시킬 때, 이 변환을 a를 축으로 하여 반전
각
x인 라게르반전이라고 한다n개의 변수 에 m개 ... ...
저항없는 꿈의 전력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기술을 개척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실제 염 교수의 연구실에서도 초기에는“과연 저 생
각
이 실현될까”하며 의아해했던 아이디어가 좋은 연구성과로 나타나기도 했다.염 교수는 학생 시절부터 초전도체가 전기∙전력∙전자 분야에 큰 기여를 하리라 확신했다. 미국 샌디에고소재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2일, 미 CDC 연구팀은 14일 사스바이러스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해독했다. 두 연구팀은
각각
서로 다른 곳에서 사스에 감염된 환자로부터 분리한 코로나바이러스를 분석했지만 두 바이러스의 염기 차이는 15개에 불과했다. 이는 사스가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됐음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것이다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치료실이 한곳 더 마련돼 있기도 하다. 실제 빔에 의한 치료는 2-3분 이내면 충분하지만
각
치료실에서 환자의 이동과 고정 등에 환자 당 20-40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많은 수의 환자를 치료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일 한대의 회전조사대가 더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보한 것이다.빔 라인 끝 쪽에는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느낄 수 있다. 대표적 예가 ‘왕립식물원’(Royal Botanic Graden)이다. 대영제국 시절 세계
각
국의 희귀한 식물들을 모아 만든 정원으로 한국의 창경궁 정도 규모에 지구의 거의 모든 식물종을 모아 놓고 연구하는 곳이다. 이곳에서도 과학축제는 한창이었다.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이들이 관람객을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