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들어갈 수 없다. 또 가장 큰 16자릿수를 찾기 위해서는 오각형 바깥에 들어가는 수들 중에 가장 작은 수는 되도록 커야 한다. 따라서 10부터 수가 큰 순서대로 5개의 수를 바깥쪽에 둬야 6으로 시작하는 큰 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인 1부터 5까지의 수는 노란색 오각형에 배열돼야 한다.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다음 목적지는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이 될 예정이다. NASA는 태양계 탐사 프로젝트인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타이탄에 보 ... 찾아내길 기대한다”며 “타이탄 지상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에서 생명의 흔적을 찾아내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튜브는 좌우로 지그재그를 그리며 내려간다. 이는 진자 운동과 유사하다. 진자 운동 중인 물체는 양끝으로 갈수록 속도가 느리고, 가운데로 갈수록 속도가 빠르다. 마찬가지로 튜브에 탄 사람은 슬라이드를 내려오면서 튜브의 속도가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는 스릴을 느낄 수 있다. 진자 운동을 하는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서태평양 바닷속 저 아래 심해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을까. 한국의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9월 서태평양 심해 4000m 깊이에서 탐사에 나 ... 이뤄지지 않았다. 형 센터장은 “올 여름 해미래의 서태평양 탐사가 끝나면 2020년 인도양 중앙해령 탐사 계획을 세워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형제격인 지하집모기는 지하철역에서 진화한 신종이다. 육상에서 살던 빨간집모기 중 일부가 별다른 동물도 식물도 없는 지하로 내려갔는데, 그곳에서 쥐와 인간의 피를 빨아 먹기 시작했다. 걔들은 특이하게 따뜻한 지하에서 겨울잠도 안 잤고, 암컷이 피를 빨지 않아도 알을 낳을 수 있었다.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많으며, 다른 동물 역시 모기가 사라져도 이내 다른 먹이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둘 중 어느 쪽이 타당한지 과학적으로 예측할 방법이 현재는 없다. 압둘라예 디아바테 아프리카 보건과학연구소(IRSS) 책임연구원은 “GM 모기를 찬성하는 측도, 반대하는 측도 모두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한 ... ...
- [10대의 약] 단체 폭풍 설사 유발하는 식중독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있는 일회용 알콜솜이나 항균 티슈 등을 이용해 휴대전화를 자주 닦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필자소개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약학 정보를 쉽게 널리 알리기 위해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개인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대규모의 예술 작품으로 탈바 꿈합니다. 이 작품은 대중에게 선보이기 위해 여전히 작업 중입니다. 터렐은 이처럼 정사각형이나 타원형으로 구멍을 뚫어 빛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터렐의 공간에 들어간 모든 사람은 매일, 매 순간 다른 하늘을 볼 수 있게 말이죠. 하늘은 시시각각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작은 지진들의 진원도 증거가 됐어요. 연구단이 포항 지열발전소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 중 진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지진 98개를 분석한 결과, 한 파이프로 물을 넣은 때 지진이 모두 같은 단층면에서 일어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랍니다. ●●● 증거 3 ●●●지진이 난 뒤, 파이프가 ... ...
- [가상인터뷰]최대 티라노사우루스 '스코티'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내 화석은 머리뼈, 엉덩이뼈, 갈비뼈, 다리뼈, 이빨 등으로 전체 뼈의 65% 정도야. 이 중 머리뼈만 캐나다 왕립서스캐처원 박물관 입구에 전시돼 있었단다. 연구팀은 앞으로 내 전체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려고 해. 내가 처음 발견된 지 28년 만에 내 뼈 화석 전부를 전시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