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확산되던 악성코드가 아프리카에서만 집중적으로 발생한 에볼라(Evola) 바이러스처럼
조금
씩 국지성을 띠게 된 것이다. 실제로 한두 곳에서만 보고된 악성코드의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세계적으로 퍼진 악성코드는 곧 사방에서 공격받지만, 한 곳만 공격하는 악성코드는 추적하거나 대처하기 무척 ... ...
요금내리면 휴대전화 얼마나 쓸까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엄마, 요금이 싸지니까
조금
더 써도 되지?”라고 말이다. 그러면 엄마는 “그래
조금
만 더 써. 그래도 예전보다 많이 쓰면 잔소리할 거야”라고 답할 것이다. 물론 요금이 인하되면 엄마의 잔소리는 예전보다 덜 듣게 된다. 정민이 아빠의 경우는 어떨까. 요금이 내리면 회사에서 유선전화를 써도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방해합니다. 한 끼에 너무 과한 식사를 하고 있지 않은지 점검해 보세요.▶4~7개
조금
만 방심하면 비만이 될 수 있어요! 식사가 불규칙하거나 운동을 하지 않는군요. 규칙적인 운동은 몸의 지방을 연소시키고 칼로리를 소모하게 도와 줍니다. 또 식사의 양을 줄여 여러 번 나눠 먹는 방법을 시도해 ... ...
헌 코 줄게, 새 코 다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한편 알레르기 비염이 심한 환자에게 소청룡탕을 투여한 뒤
조금
이라도 증상이 개선된 환자는 89.7%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 아토피 피부염 등 다른 알레르기 질환을 함께 앓는 환자에게는 효과가 낮았다.이런 결과는 알레르기 치료에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 현대의학 ... ...
호박에 줄그어 수박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보고했다. 김 교수팀은 여기에 의문을 품었다. 그래서 쿠커비투릴을 합성할 때 온도를
조금
낮춰 반응시켜봤다. 그 결과 5개, 7개, 8개 조각으로 이뤄진 여러 가지 쿠커비투릴 동족체가 만들어졌다. 목 박사는 보통 높은 온도에서 반응시켰기 때문에 가장 안정한 상태인 조각 6개짜리 쿠커비트릴만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지능저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가끔 간질제거 수술을 하면 지능이
조금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산 너머 산지능을 높이는 뇌수술은 불가능한 걸까. 지난 해 3월 미국 스탠포드대 줄기세포연구소의 어빙 와이스만 교수팀이 발표한 인간 뇌세포를 가진 쥐에 실마리가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흐르는 ‘김청기’라는 이름 석 자만 보고도 숨 막히던 유년기를 보낸 이라면 사정은
조금
다르다. 부천시 한복판에 있는 작업실에서 만난 노(老) 감독은 영락없는 현역이었다. 그의 온몸에서 뿜어 나오는 열정은 젊은 감독 저리 가라다.김 감독이 거대로봇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만화영화를 ... ...
과학으로 미래를 내다본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우리 연구실이 개발한 예측모형을 이용해서 에어컨 수요를 99% 정확히 예측했다는,
조금
은 과장된 기사가 실렸다. 예측정확도는 일반적으로 실제값에서 예측치가 벗어난 정도를 %로 표현한 값이다$($$(\frac{1-|실제값-예측치|}{실제값})$x$100%$$)$.100%에 가까울수록 정확한 것이다. 그 뒤 LG에어컨은 ... ...
'지지리마 란드러'의 밀린 숙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그려 보세요. 먼저 문에 원을 하나 그리고, 그 안에 다시 사각형을 그리세요. 원보다는
조금
큰 삼각형을 그리고 삼각형의 한 쪽 모서리에 자신의 이름을 써 보세요. 다 되었나요? 그럼 그림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볼까요? 사람의 생각은 정말 다양하다는 것을 알겠지요? 그럼 안녕히 가시기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성체줄기세포로 나눌 수 있는데 세계적으로 성체줄기세포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조금
더 많으며 실용화도 가깝다.성체줄기세포 연구는 1961년 캐나다 제임스 틸과 어니스트 맥쿨록 박사가 골수에서 백혈구와 적혈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를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백혈병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