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쇠도끼와 철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청동불상 주조기법과 똑같은 방법으로 거대한 무쇠불상을 만들었다.철기의 출현은
인류
의 역사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다. 새로운 무기는 군사기술의 혁병을 불러 일으켰고 철제 농기구와 공구는 생산기술의 혁명을 초래했다. 그래서 철기는 고대인에게 있어서 부(富)와 힘의 상징이었다. 한반도 ... ...
PARTⅠ 도시교통문제를 보는 시각 달라져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일이다. 인간이 경제·사회적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교통은 필수적인 활동인 것이다.
인류
문명의 발달을 역사적으로 검토할 때 교통의 발달이 사회에 끼친 영향(즉 교통의 기능)으로 크게 세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산업화의 추진, 도시화의 촉진 그리고 다른 활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의 ... ...
PARTⅢ 아피안에서 첨단도로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아니다. 기존의 도로를 좀 더 과학적으로 운영하는 일도 시급한 것이다.도로의 역사는
인류
문화의 생성과 함께 시작되었다. B.C.300년경 로마제국의 도로는 아피안(Apian)가로 (총연장 1백98km, 폭4.3m)를 비롯해 모두 10만km에 달했다. 그밖에도 부강했던 고대도시국가들의 도로망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 ...
태평양 바다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망간단괴는 5백40억t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망간단괴를 통해
인류
전체가 1만2천년 사용할 수 있는 금속을 뽑아낼 수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왜 이런 깊은 해저면에 망간단괴가 생성되는가 하는 점이다. 바닷물속에는 수많은 종류의 화학성분이 녹아 있다. 금속성분인 망간 ... ...
최근에 개발된 명약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길항작용만을 보유한 부리마마이드(Burimamide)라는 물질을 탄생시켰다. 이 부리마마이드는
인류
가 처음으로 개발해 낸 H2길항제다. 이 물질은 깅력한 위산분비 억제작용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정맥주사를 통해서는 강력한 작용을 나타내나 경구투여로는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 ...
의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절실히 느낄 수 있는 임상의학부분으로 이야기 방향을 돌리기로 한다.21세기를 맞는
인류
의 안녕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는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의 치료에서 현재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있는 것은 애석하게도 AZT 뿐이지만 90년대에는 α인터페론 인터루킨-2 등의 치료효과가 충분히 검토될 수 ... ...
PARTⅠ풍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것은 19세기 말이었으며 이후 풍력발전기 개발 연구가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인류
최초의 MW급 시스템인 '스미스 풋남'(Smith Putnam) 풍력발전기가 이미 1941년에 가동되는 등 20세기 중반 이전에 풍력발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차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유류의 대량생산으로 ... ...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 기발한 제안은 아직도 기초연구단계에 있으나 만약 그의 아이디어가 실현된다면
인류
는 에너지문제를 걱정 안해도 될 것이다.상대론을 포용한 중력이론1967년은 사하로프에게는 학문적으로 풍작의 한 해였다. 그는 이 해에 "중력은 물질의 흔들림에 기인한다"는 이론과 "우주에서의 물질과 ... ...
생명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조절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우리나라도
인류
의 유전정보 판독계획에 참여, 다소 공헌하리라고 생각된다. 그밖에도 항암제 호르몬제 생리활성물질 등의 대량생산이 시도될 것으로 보인다.전반적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을 비롯한 과학 및 산업 선진국의 선례를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89년 1월에는 앞서 말한 아르헨티나 선박의 인명구조를 위해 출동, 머나먼 남극에서 진한
인류
애를 함께 나누었다.고층대기의 새로운 현상발견제2차 남극연구단의 하계조사팀은 89년 1월 19일부터 2월 15일까지 활동했다. 연구범위는 기지주변의 환경조사로서 1차팀의 연구분야외에 고층대기분야가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