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종! 스파이더맨을 인터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6년 전통의 당중초등학교서울당중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
위치
하고 있으며 1949년에 개교하여 무려 56년이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전통있는 학교입니다.역사가 깊은 만큼 넓은 운동장과 화단에는 굵직굵직한 아름드리 나무들이 푸른 숲을 이루고 있으며, 잘 가꾼 교재원, 작은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페름기의 신적사암(新赤砂岩)과 대응되는 말이다 특정한 지층면이 지하에서 어떤 공간적
위치
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보여 주는 일종의 지질도(地質圖) 원리는 지형도에 등고선을 그리는 것과 같다 탄층(炭層) · 응회암층(凝灰岩層) 등 전체의 구조를 잘 드러낼 수 있게 분포된 건층(鍵層) 윗면이나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보이는 별자리 1751년 라카유가 남쪽 하늘에 신설한 14별자리 중의 하나로서 대략적인
위치
는 적경(赤經) 10h0m, 적위(赤緯) -35˚이다 동력원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권양기(捲揚機) 호이스트로는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식이 보통이지만, 탄광 등 폭발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전기불꽃이 위험하므로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압력과 상하좌우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달려 있고, 지휘자 앞에는 이런 지휘봉의
위치
를 추적하는 카메라가 있다. 덕분에 컴퓨터는 지휘봉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따를 수 있다. 물론 소리도 진짜 악기에서 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만들어 놓은 가상의 악기에서 난다.디지털 지휘봉과 비슷한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백만분의 1초 안에 추적할 수 있다, 하고 인공지능은 계산했다.그러나 지금 당장은
위치
추적이 어려웠다. 판단을 늦추는 게 낫다는 계산이 섰다. 바로 그 순간에 어떤 SF 공모 사이트에 김은경의 단말기로부터 거의 30만자에 가까운 Black Books 문건이 전송되었다. 판단을 보류할 수 없다는 뜻이었다.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하는 삼림 아한대(亞寒帶)에서 상록침엽수림이 성립할 수 없을 정도의 가혹한 환경적
위치
에 성립하는 삼림이며 낙엽송류의 삼림이 알려져 있다 낙엽활엽수가 임상(林相)의 주종(主種)을 이루는 산림 넓은 의미에서는 열대 · 아열대의 우록림(雨綠林)과 온대의 하록활엽수림(夏綠闊葉樹林)을 합하여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관찰하려해도 전자가 너무 가벼워서 현미경과 같은 측정도구가 활용하는 빛이 전자의
위치
와 속도에 영향을 준다. 주식 시장에서도 아무리 우수한 방법을 사용해도 많은 사람이 쓰면 그 유용성이 떨어진다.이는 경쟁과 견제, 타협을 다루는 게임이론으로도 비유된다. 가장 유명한 게임이론의 예로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극지 연구 과정에서 예상외의 수확도 얻었다. 1992년 1월 김 소장의 연구팀은 세종기지가
위치
한 남극 주변 해저에서 국내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300배에 달하는 가스수화물층을 발견했다. 가스수화물은 얼음 속에 갇혀 있는 메탄가스. 현재의 에너지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로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영역도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서 부검한 여러 사람 뇌를 염색해보고 만든 확률적인
위치
지도가 공공용으로 발표돼 있다.이는 노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독일 연구소에서 집중적으로 수행해 표준 MRI 위에 옮겨 놓은 것을 누구나 내려받아 사용하고 있다. 고도로 특화된 연구실에서 전문가가 1년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기준으로 망원경에 부착돼 있는 눈금환을 이용해 시리우스의
위치
를 찾아야 한다. 별의
위치
를 찾았으면 중간 배율 정도로 해서 망원경을 들여다보자. 주의 깊게 살펴보면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희미하지만 하얗고 동그란 작은 점이 보일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시리우스다. 대낮에도 별을 볼 수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