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낮고, 표면이 미끄러워 금속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을 신어야 한다. 빙하가 녹으면서 얼음 사이에 드러나 있던 바위가 떨어져 내리기도 한다. 바닥도 예측이 불가능하다. 단단한 얼음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표면만 얼어붙은 웅덩이일 수도 있다. 깊이 들어갈수록 위험한 순간은 늘어난다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채널이라고 한다. 와이파이 채널 하나는 20MHz의 전송대역을 차지한다. 이 때 채널과 채널 사이의 전송 대역 간격은 약 5MHz다. 83MHz의 전송대역에서 겹치는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모두 합치면 13개의 채널(1~13번 채널)이 생긴다. 중첩되지 않는 독립된 채널은 4개(1, 5, 9, 13번 채널)가 나온다.와이파이 통신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지구가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또한, 지난 1월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두 별 사이의 거리가 멀리 떨어진 쌍성계에 속한 행성은 매우 불안정해서 심한 타원 궤도를 돌다가 외부로 튕겨 나갈 가능성이 크다. 행성계에서 일부 행성이 쫓겨나는 것은 상당히 흔한 사건일 수도 있다는 얘기다 ... ...
- 단추 채우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또 무슨 변명을 상상해내려는지는 모르겠지만…….”여자는 눈물을 훔치며 가방과 몸 사이에 숨겨두었던 스케치북을 다시 식탁에 내려놓았다. 그리고 네 번째 페이지를 펼쳤다.“도파민이라는 게 있어요.”“이봐요. 그 이야기는 이제 그만합시다.”여자는 아랑곳하지 않고 그림을 그렸다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기후는 항상 일정하지 않아서 극지방에서 발생한 제트기류가 고위도와 저위도 지역 사이에서 이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현상을 ‘북극 진동’이라고 한다.북극 진동은 ‘극진동지수’라는 값으로 그 강한 정도를 나타낸다. 극진동지수가 양의 값이면 제트기류가 북극에 가깝게 올라가고, ...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실패하였습니다. 현재 좌표로 비상 착륙하겠습니다.”폴과 폴리스, 피타가 어떻게 해 볼 사이도 없이 모니터의 문제는 사라지고 좌표를 수정하는 데 실패하고 만다. 그러자 바로 우주선 안에 기계음이 냉정하게 울려 퍼졌다. 이어 우주선이 급속도로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폴과 폴리스, 피타는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함수 기능도 갖추고 있다.빙고판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함수는 두 가지다. 하나는 0과 1사이의 유리수를 마구잡이로 선택해 값을 내는 ‘난수 함수’이고, 다른 하나는 결과 값의 순위를 매겨 주는 ‘순위 함수’다.난수(Random Number)란, 무작위로 만들어져 알 수 없는 수를 말한다. 다시 말해 ‘예측할 ... ...
- [체험] 친환경자동차 연구의 기본은 수학! 자동차안전연구원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눈이나 비가 올 때 자동차가 달리는 속도와 바퀴 속도를 비교하다가, 바퀴가 미끄러져 둘 사이에 차이가 생기면 바로 속도를 줄여 줘요. ABS를 비롯한 많은 장치들이 2진수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자동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돕는답니다.오정환 : 아~, 그렇군요! 그럼 이곳은 자동차의 안전을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사실은 흥미롭다.‘초협력자’의 저자인 마틴 노왁 옥스퍼드대 교수는 2006년 사이언스 논문에서 진화를 위해서는 인간 사회뿐 아니라 동식물, 다세포 생명체, 조직, 세포 심지어 단백질과 핵산 수준에서도 협력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여기서 핵산이 바로 유전물질인 DNA와 RNA다.오늘날 생존을 ... ...
- 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최적의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을까. 이를 알려면 먼저 음료수캔 표면과 로봇 손바닥 사이의 마찰력을 구해야 한다. 그 다음은 물체를 집어 드는 각도와 속도를 계산해야 한다. 모두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뉴턴역학으로 할 수 있다.휴머노이드 로봇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최대 과제인 ‘로봇의 두발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