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6,504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11
얻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 볼 때 이미 많이 진행된 암에
대해
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당분간 암의 치료법은 기존의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과 병행해 유전자치료를 사용하는 방식이 돼야 할 것이다.아직 넘어야 할 산 많아유전자치료는 아직 임상실험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11
통해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칩을 만들면 기능을 알지 못하는 유전자에
대해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가장 기대가 되는 DNA칩의 응용분야는 유전병 진단이다. DNA칩으로 수많은 유전자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유전자 변형에 의해 생기는 유전병을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11
전쟁에서 마침내 인간이 승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 먹는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에
대해
알아보자.미 보건부 장관이 직접 판매 승인 발표글리벡(개발명 STI-571, Glivec/Gleevec)은 지난 1998년 스위스의 제약회사 노바티스사가 만성 골수백혈병(CML, Chronic Myeloid Leukemia) 환자를 위해 개발한 약이다. 미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11
떨어진 곳에서 약 2억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호에서는 우리은하에
대해
알아보자.★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1) 은하수의 굵기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 ( )(2) 은하수는 어느 계절이고 천정에서 볼 수 있다. ( )I 정답 해설 I위와 같은 문제들은 너무 주관적이어서 천문학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11
모두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미래의 바이러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또 백신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보호 프로그램에만 의지하는 수동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사용자 스스로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지식을 습득해 대처하는 적극적인 정보보호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
과학동아
l
200111
MIT, 스탠포드대학 등 세계 여러 곳의 과학자들은 BEC로 응집된 원자를 누가 먼저 얻는가에
대해
서로 치열하게 경쟁했다. 문제의 핵심은 누가 먼저 매우 낮은 온도를 얻는가 하는 점이었다. 그러던 중 어느 학회에 참석했다가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콜로라도대학 JILA(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와 ... ...
강산성 장내에서 유해균 잡는 유산균
과학동아
l
200111
이번 연구를 통해 루테리균이 강력한 항균물질인 ‘루테린’을 생성해 장내의 유해균에
대해
완벽한 사멸효과를 갖고 있음을 국내 최초로 입증했다.박 교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수백가지 유산균들은 산성에 약하기 때문에 사람이 유산균을 먹을 경우, 위산이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대부분 ... ...
왕초보자 위한 마라톤 훈련법
과학동아
l
200111
좋은 자세신체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면 이제 훈련을 시작하자. 우선 달릴 때 자세에
대해
여러가지 의문점이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가장 에너지 소비율이 적은 효율적인 자세로 뛰는 방법이 좋다. 물론 생김새에 개성이 있듯이 자세도 제각각이다. 올림픽에서 4번의 금메달을 딴 유명한 에밀 ... ...
10배 이상 늘어나는 세라믹
과학동아
l
200110
물질은 우선 과학적으로 호기심을 준다. 연구팀은 어떻게 이런 현상이 가능한지에
대해
아무런 해답도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슈퍼플라스틱 세라믹 물질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세라믹은 무기 비금속원료를 고온처리해 만드는 물질을 말하는데, 고온에서 잘 견디고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10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았을까. 멸종이 얼마나 일어났는지 가늠할 수 있는 이 질문들에
대해
정확하게 답하기란 쉽지 않다. 현재 학계에 보고된 생물의 수는 1백80만종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열대지방이나 깊은 바다에 사는 생물, 그리고 아주 작은 생물 중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종류가 무척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