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11
올해도 있을 것 같지 않지만 실제로 있었던 ‘이그(Improbable Genuine)’ 업적들을 10
개
부문에서 선정했다.수염에 붙은 세균은 비누로도 잘 안 씻겨나는 ‘미생물학자가 수염을 기르면 가족과 친구를 감염시킬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었다(공중 보건학 분야). 미국 메릴랜드주 산업건강안전연구소의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원을 지원받은 이 연구에서 박 박사와 유 박사는 1500여
개
의 단백질을 찾아냈다. 참여한 20
개
의 연구팀 가운데 가장 많은 수였다. 박영목 박사는 “처음에는 다른 나라의 연구팀이 믿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가공하기 전의 순수 데이터를 우리가 제시한 방법으로 독일 연구팀이 직접 분석해 본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11
극대화시킨다. 도르래 시스템이 적용된 의상에서는 근육을 따라 X자 모양의 밴드가 여러
개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이처럼 전문 스포츠웨어는 앞으로도 소재 과학과 인체 생리, 스포츠 역학의 연구와 함께 첨단과학의 힘을 빌려 다양한 기능과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11
분할한 모양을 그리시오.3) 위의 조건에 따라 삼각형 ABC를 분할한다면 최대 몇
개
의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는지 답하고, 그 이유를 쓰시오.전문가 클리닉 중1 때 배운 정다면체와 그래프 이론이 결합된 문제입니다. 입시 경향이 바뀌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 직접 그려보는 탐구적인 활동과 함께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
과학동아
l
201011
돌봐 주고 지식을 가르쳐 줄 어른이 없다는 게 단점이다. 냉동 수정란만 보내 외계행성을
개
척하려면 어린아이를 길러 줄 인공지능 로봇이 꼭 필요하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11
부담이 있는데다, 수상자 발표 당일 교황청이 곧바로 “체외수정 기술 때문에 수백만
개
의 난자가 죽거나 버려지고 있다”고 비판 성명을 낼 만큼 가톨릭계의 반대가 심하다. 하지만 위원회는 400만 명의 새 생명을 탄생시킨 의학적 성과를 높이 평가해 에드워즈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한편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11
분야 국제 학술대회인 ‘2010 국제로봇컨퍼런스’가 함께
개
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30
개
국의 참가자들이 800편의 논문을 발표해 학술 교류도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의 만프레드 모라리 교수 등 로봇공학계 석학의 초청강연도 열린다.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11
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했다. 연구를 이끈 오상호 선임연구원은 “새롭게
개
발한 소파블록을 현장에 설치할 때 수조 실험 결과가 기초적인 설계 자료로 활용된다”며 “방파제를 비롯해 조력발전용 수문 같은 각종 해안구조물을 설계할 때도 수조 실험을 항상 먼저 한다”고 말했다. ... ...
새알을 품은 봉선화꽃
과학동아
l
201011
그리도 활짝 피었던 걸까. 봉선화꽃 속을 현미경으로들여다봤더니 작은 새알 세
개
가 놓여있다. 새알처럼 보이는 것은 봉선화꽃의 꽃가루다.‘제7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수상작이 10월 9일 발표됐다. 이 행사는 충청북도, 충북대, 오송바이오진흥재이 주최하고 국가지정 의학정보센터가 주관했다.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11
인식하면 되지만 쓴맛은 다양한 구조를 인식해야 한다. 몸에 독이 되는 물질이 한두
개
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다양한 쓴맛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쓰다’고만 느끼는 걸까.몸에 해로운 물질은 쓰다는 정보만 주면 충분하지(어차피 뱉어낼 것이므로) 물질마다 다른 식으로 쓰게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