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뉴스
"
가지
"(으)로 총 7,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노 리더 꿈꾼다면... 나노영챌린지 2019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유지범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회장은 “나노기술은 모든 기술에 기반인 분야로, 6
가지
미래유망신기술 중에서도 우수한 인재 발굴이 가장 중요한 분야”라며 “앞으로도 '나노영챌린지'를 통해 차세대 연구자를 발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홈페이지(www.kontrs.or.kr) ... ...
새로운 인플루엔자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기업에 기술이전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책임연구원은 에스티팜의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인플루엔자의 두
가지
유형인 A형과 B형 모두에 작용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바이러스의 복제를 담당하는 중합효소인 ‘PB1 서브유니트’를 표적으로 해 억제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세포막을 뚫고 ... ...
공항 출입국 시스템에 인공지능 안면인식 기술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현재 출입국 심사는 유인 출입국 심사와 자동출입국 심사대가 병행 운영되고 있다. 두
가지
심사 방법 모두 세 단계에 걸친 심사 과정이 필요하다. 출입국자가 심사대에 멈춘 상태에서 여권과 지문을 인식하고 안면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약 20초에서 60초의 시간이 평균적으로 소요된다. ... ...
신개념 나노촉매로 이산화탄소 70% 이상 에틸렌으로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구리산화물 육면체 나노입자를 합성한 뒤 산화시켜
가지
모양의 구리산화물 나노입자로 합성했다. 이를 탄소 지지체 표면에 담아 구리산화물-탄소 전극 물질로 활용, 중성 수용액에서 반응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산화탄소로부터 70% 이상의 에틸렌을 얻는 데 ... ...
"과학자들 연구성과 내는 일만큼 사회적 책임 다해야"
과학동아
l
2019.04.27
선정하기 위해 ‘학문적인 영향력’ ‘대중적인 인지도’ ‘정책 결정의 파급력’ 3
가지
를 선정 기준으로 삼았다. 먼저 최근 1년간 왕성한 활약을 보인 후보 30명을 과학기술계의 조언을 얻어 추렸다. 그 뒤 과학기술인 400명으로 구성된 투표인단이 2월 22일부터 3월 3일까지 열흘간 온라인 투표를 ... ...
노트르담 되살리는 3D 스캐닝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활용되는 이유다. 보통 한 개 파장의 가시광선을 쓰지만 최근에는 빨강, 녹색, 파랑 등 3
가지
파장의 가시광선 레이저를 써서 색채를 구현하기도 한다. 적외선을 쓰는 경우도 있다. 건물의 3D 스캐닝 데이터는 쓰임새가 많다. 디지털 자료여서 그래픽 작업만 더하면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에서 ... ...
농업에 블록체인·드론·위성 도입 확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방안들이 논의됐다. 주요 안건인 ‘미래농업을 위한 과학기술 전략’에서는 크게 세
가지
내용이 다뤄졌다. 먼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할 방법이 논의됐다. 스마트팜을 구축해 과학적 영농을 실현하고 고수익을 추구하며, 농업로봇과 농림위성, 드론 등을 적극 활용해 농업 분야의 ... ...
[이정아의 닥터스]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책임 국가가 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않은 시선도 거둬야 한다.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가 주변 시선 때문에 병원에
가지
를 않으면 오히려 병을 키울 수 있다. 감기나 장염에 걸렸을 때 내과에 가는 것처럼 뇌에 병이 났을 때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게 당연하다. 최근에는 부작용이 잘 나타나지 않는 약물이 개발돼 치료만 잘 ... ...
뇌 신경신호 읽어 ‘목소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뇌공학자들은 뇌에서 신경신호를 읽어 언어를 합성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뇌의 언어 중추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신호를 직접 읽어서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게 첫 번째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는 “뇌 속에서 생각만 한 말도 발성으로 바로 연결시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누가 노벨상을 받는지 관심을 갖는다. 물론 요즘엔 노벨상에 얽힌 뒷이야기들도 며칠
가지
않는다. 심지어 해당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자도 올해 노벨과학상을 누가 받았는지 해가 바뀌면 잊어버리기 일쑤다. 1901년부터 지금까지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의 숫자는 908명으로 채 1000명이 되지 않는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