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적 탐지를 위해 수중 음향 장비가 필수입니다.▶ 조선업의 호랑이한국 조선공학의 저력Q 한국 조선업이 향후 30년간 세계 1위를 유지할 것이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사실인가요?A 중국의 성장세에 달렸습니다. 여러분이 걱정하는 것처럼 조선분야에서 중국이 우리를 추월한 것은 아닙니다. 중국이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방송 등에서 이러한 다양성 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마 오래지 않 아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 ...
- [과학뉴스]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일반인과 학생으로 구성된 120명의 참석자들은 과일박쥐가 왜 에볼라의 진원지였는지, 한국의 박쥐도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은 없는지, 백신과 치료제 개발 현황은 어떤지 등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했다.과학동아 카페는 매달 개최되며(참가비 1만 원), 과학동아 정기구독자 및 서포터스는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일, 지구 표준시각(UTC)으로 정오 무렵 명왕성 근처 1만3700km 지점을 통과한다. 지구로 치면 한국에서 브라질까지보다도 훨씬 가까운 거리다. 한 시쯤에는 명왕성의 태양 그림자 뒤를 통과해 그 후면을 관찰할 것이고, 다시 한 시간 뒤에는 위성 카론의 그림자를 통과한다. 그리고는 영영 이별이다. 난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도입돼 쌀 생산량이 320~360kg까지 늘었다. 쌀 생산량이 증가했음에도 일제의 수탈과 한국전쟁으로 국민대부분이 절대적인 빈곤에 시달렸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사정은다르지 않았다. 1960년대 초반 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보부까지 나서 이집트의 척박한 토지에서도 잘 자라는 볍씨(나다종)를 ...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사람이 겪는 불안장애와 한국 사람이 겪는 불안장애의 증상이 다르고, 같은 한국 사람들 안에서도 노인들이 겪는 불안과 청년들이 겪는 불안의 내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지요.이런 변화는 그 자체로 흥미로운 의료인류학의 주제가 될 수 있어요. 정신 질환들은 어떠한 맥락과 과정 속에서 ...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선정됐다. 이를 계기로 창조경제타운 ‘부처연계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한국연구개발서비스업활용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자로 선정돼 지원받으면서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기술이전기업과의 부처연계사업인 산업부 비즈니스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사업에도 선정됐다. 지금은 유럽 등 해외로 기술을 ... ...
- [뉴스 포커스] 세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서울세계수학자대회와 함께 또 다른 수학 축제가 우리나라에서 열렸다. 바로 융합수학 학회인 ‘브릿지스 서울 2014’다. 융합수학이란 수학적인 ...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다”며, “올해는 테셀레이션(쪽매맞춤)을 종이접기로 표현한 한국 작품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전세계 곳곳에서 평소보다 크고 더욱 빛나는 슈퍼문이 관측돼 많은 이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혹시 아직까지 슈퍼문을 보지 못한 독자라도 실망하지 말자. 이번 달 9일,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 찾아온다. 이뿐만 아니라 올 가을엔 토성이 달 뒤로 숨는 토성 엄폐와 붉은 달이 인상적인 개기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느꼈다.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오래지 않아 필즈상을 받을 한국인이 탄생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제임스 사이먼스의 강연을 통해 훌륭한 사람이 되려면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느낄 수 있었다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