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시상식은 매년 9월 이곳 미국 하버드대학교 샌더스극장에서 1200여 명의 관객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어 아주 기뻐요.올해 23회째인 이그노벨상은 황당한 연구나 일을 한 사람들에게 주는 상이에요. 그렇다고 우습게 보면 안 돼요. 처음엔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미리 기다리고 있던 연구원 70여 명은 아라온호에 승선해 북극해를 이동하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올해 북극에는 한 눈에 알아볼 정도로 얼음이 많아졌어요. 그래서 그 이유를 생각해 봤는데, 우선 올해 북극점 주변 날씨가 엄청 추웠어요. 추운 날씨 때문에 북극 해빙이 녹지 않고 남아 있던 ... ...
-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사실을 알아낸 공로로 상을 수상했답니다. 장 교수님은 “어과동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 덕분에 좋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각각 실외에서 햇빛을 쬔 시간이 많을수록 근시가 덜 발생한다고 했지요.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햇빛을 받을 때 눈에서 안구 길이를 조절하는 물질이 나와서 근시를 예방할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특집 한 걸음 더 시력 지키는 여섯 가지 방법아직까지 근시를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맞춰 본 친구들은 ‘벌레’라고 더럽게 여기거나 함부로 죽이지 않는답니다.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동탄신도시 옆에 있지만 장지리는 아직 야생동물의 천국이에요. 청정지역에만 사는 환경지표종 반딧불이, 도롱뇽, 가재가 살고 있고, 천연기념물인 수리부엉이, 원앙, 황조롱이와 멸종위기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D프린터로 인공혈관을 만들었어요. 3D프린터로 간이나 심장 같은 장기를 찍어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답니다.범죄에 악용하면 절대 안 돼!3D프린터가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에요.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거든요. 지난 5월 미국 ‘디펜스 디스트리뷰트’라는 단체가 3D프린터로 만든 총으로 ... ...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막스플랑크연구소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전세계의 생태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어요. 그 결과, 젠가 게임에서 승패를 가르는 조각처럼 수달도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죠.와! 연구팀은 수달의 영향력을 어떻게 알아봤나요?놀랍게도 수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크답니다. 또한 체험전의 경우는 공모 지원부터 부스 운영까지 친구들과 머리를 맞대고 진행하기 때문에, 협동심도 길러지고 다른 곳에서는 얻을 수 없는 귀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답니다. 독자 여러분에게도 수학동아리를 적극 추천합니다!- 일산동고 수학교사 ... ...
-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로봇을 만드는 ‘창작종목’, 로봇 축구대회인 ‘GEN II 풋볼’ 등 3개로 나뉘어 진행됐다. 정규 종목에서는 초등부문 임무로 인도네시아 염색 문화인 ‘바틱’을 알리는 것, 중등부에는 9세기 건축 ‘보로부두르 사원 복구’, 고등부에는 멸종위기종인 ‘코모도 도마뱀 알 보호’가 주어졌다. 창작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3억 개의 은하와 10만 개의 은하단, 4000개의 새로운 초신성을 관측할 계획이다.2008년부터 진행 중인 SDSS-III의 일부인 BOSS도 중입자음향진동(BAO)을 관측해 우주가 진화하는 동안 암흑에너지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연구한다. 110억 광년까지 떨어져 있는 은하와 퀘이사를 관측해 우주 팽창이 중력에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