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전기자동차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눈에도 보이지 않는 전기자동차가 탄생했다. 네덜란드 그로닝겐대 티보 쿠더낙 교수팀이 분자 한 개로 만든 전기자동차다. 자동차의 크기는 1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머리 카락 굵기의 6만 분의 1 수준이다.쿠더낙 교수팀이 만든 분자자동차도 실제 자동차처럼 네 개의 바퀴가 달려있다. 탄소, ...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능선이 이어지다가 큰 산맥이 솟아나는 형태인데, 남극 중앙해령은 큰 산맥이 나오기 전 작은 산맥들이 계속 이어진다는 것이다. 랭뮤어 교수는 “다른 해령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어 지구의 움직임에 대해 새로운 사실도 밝혀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해저 화산활동에 대해서도 연구해 볼 ...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과학동아 l2011년 12호
- 2011 행사장에서 처음 공개됐는데, 키 120cm,무게는 43kg으로 휴보나 마루에 비해 조금 작은 편입니다. 로보월드 행사에서 키보는 방긋이 미소를 지으며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에게 꽃다발을 선물해 화제가 됐지요.새로 만든 로봇 치고 키보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걸음걸이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만, ...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이용한 감지기도 개발하고 있다. 정밀한 외과 수술이나 사람의 손으로 하기 어려운 매우 작은 단위의 생명공학실험에서 이런 장치를 가진 로봇 손이 활약할 것이다. 그 밖에도 범죄현장의 조사, 위험물질을 다루는 일, 제품 실험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의수, 의족 등 장애치료용으로도 개발의 ...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아시모, 도요다자동차가 만든 파트너가 있습니다. 아, 소니에서 2003년 만든 큐리오라는 작은 로봇도 달린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큐리오는 키가 58.5cm 정도의 소형 로봇이라서 휴보나 아시모, 파트너와 같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습니다.무게중심이 그렇게 중요해?로봇 만들기 첫 회(과학동아 2011년 ...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연구하던 중 다공성 막을 통한 확산으로 235U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오는 기체의 분출을 이용한다. 우라늄을 플루오르와 반응시켜서 휘발성이 강한 화합물 UF6를 만들고 이것을 다공성 막에 통과시켜 235UF6의 비율을 높였다. 235UF6분자가 238UF6분자보다 가볍다. ...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수학, 수의 세계, 입체도형의 세계, 곡선의 세계 등 크게 8개의 주제로 나뉘고 그 안에는 작은 주제로 나뉘어 있다. 예를 들어 놀이 속의 수학에는 러시아워, 머긴스게임, 펜토미노와 같은 보드게임을 즐길 수 있고, 입체도형의 세계에는 빨대와 스티로폼, 나무 조각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대체될 가능성이 여전이 존재한다.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연속적이라고 느끼지만 아주 작은 시공간에서는 불연속적인 격자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격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일상에서 모든 것을 연속이라고 인식하면 실제와 달리 상대성이론이 성립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때 어느 입자가 매우 ...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한 줄로 연결돼 만들어진다. 한 줄의 굵은 사슬이 있고 각 사슬에 나뭇가지처럼 작은 원자구조가 붙어 있는 모양이다. 아미노산에는 20종류가 있는데, 나뭇가지처럼 붙어 있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달라진다.그런데 단백질을 이루는 기다란 아미노산 사슬은 제각기 독특한 3차원 구조를 이룬다 ...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 복제에 성공한 첫 사례라고 주장하고 있다.기존에도 과, 목, 강(각각 3,4,5번째로 작은 분류개념)을 뛰어넘어 체세포 복제를 통해 배반포를 만든 연구가 성공한 적이 있다. 예를 들면 조류(강)인 닭의 체세포를 포유류(강)인 소의 난자에 넣은 뒤 배반포를 만든 연구가 2004년에 있었다. 하지만 대리모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