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친 파도의 비밀을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파도의 파동을 예측할 수 있는 광학장치를 만들었습니다. 파도의 파동은 날씨와 해류의
영향
을 받아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빛을 사용한 것입니다.광학장치를 통해 실험한 결과 거친 파도는 2개의 파동이 증폭돼 생기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평소에 나타나는 파도보다 훨씬 더 큰 파도가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해결기술은 리보솜뿐 아니라 다른 복잡한 생체고분자의 구조를 해석하는 데에도 지대한
영향
을 미쳤다.병균의 리보솜 공격해 질병 치료리보솜의 구조를 해석함에 따라 단백질 합성의 메커니즘을 좀 더 상세히 알게 됐는데, 그중에서 특이할 만한 점이 rRNA의 촉매작용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내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람을 바로 맞지 않기 때문이다. 사탄동사구는 겨울 북서풍이나 여름 남동풍에 바로
영향
을 받지 않아 모래가 천천히 쌓여 식물이 자랄 수 있다.사구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면 땅이 점점 굳어지기 때문에 세찬 바람이 불어도 지형이 변하지 않는다. 서해안에 있는 사구들은 대개 사탄동사구처럼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궤도를 돌면서 연료 탱크를 깨끗이 비웠다. 기체 내부에 연료가 남아 있을 경우 나타날
영향
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이 기간은 충돌지점을 선정하기 위한 시간으로도 활용됐다.LCROSS는 달 북극 또는 남극의 영구그림자 지역에 충돌할 것이라는 사실 이외에는 정확한 충돌지점이 결정되지 않은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형성된 뭉게구름은 서울 하늘의 1/4 정도밖에 차지하지 않을 정도로 작지만 날씨에
영향
을 미친다. 이렇게 작은 규모에서 일어나는 급작스러운 반응은 모델에서 잡아내기 힘들다. 이런 작은 규모에서 일어나는 일은 추측을 할 뿐 어느 세계적인 기상학자도 자신 있게 말하기 힘들다. 그렇다면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들어진 지 불과 300년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피아노의 탄생에 직접적으로
영향
을 끼친 악기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16세기에 만들어진 클라비코드와 하프시코드가 피아노의 전신”이라고 말했다.클라비코드는 16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독일 등지에서 유행했던 악기로 최초의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기자는 살짝 놀랐다. 후각으로 맛도 보고 병도 진료한다고?“후각은 미각에 막대한
영향
을 미치거든요. 사실 우리가 맛이라고 느끼는 감각의 90%는 후각에서 온 거에요. 혀가 느끼는 맛은 단맛 쓴맛 신맛 짠맛에 지나지 않으니까요. 감기에 걸려 코가 막혔을 때 음식에서 맛을 느끼지 못했던 경험을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연구를 싣고 있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동물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는 동물의 행동에
영향
을 미친다”며 “가축이 사람에게 두려움을 느끼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삶의 질도 저하된다”고 주장했다.‘빈 맥주병과 맥주가 든 병 가운데, 머리에 내리쳤을 때 어느 쪽이 더 위험한가’를 실험해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케이블과 상판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사장교와 현수교 같은 장대교량에는 바람의
영향
을 줄이는 일이 중요하다. 인천대교에는 내풍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도입됐다.인천대교 상판의 끝부분에는 자동차나 비행기에서 와류 발생을 차단해 공기저항을 줄이는 장치인 스포일러를 도입했다. 이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중력렌즈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추측했는데, 1979년 마침내 퀘이사가 중력렌즈의
영향
을 받아 2개로 보이는 현상이 관측됐다.“청주대 응용과학부 장경애 교수가 1980년대 은하를 이루는 개개의 별도 중력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룬 논문을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그 뒤 별이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