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명"(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됐다. 미시적인 물리법칙들은 뉴턴의 운동방정식처럼 과거와 미래를 같은 방식으로 설명한다. 물리학자들은 이를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라 부른다. 그런데 우리는 매일 시간이 흐르는 것을 본다. 우리는 산산조각난 유리조각이 저절로 다시 모여 예쁜 유리컵 모양으로 돌아가는 일을 본 적이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루츠 니마이어 박사팀은 번개가 갈라지는 모양을 ‘절연파괴’ 현상으로 설명했다. 절연파괴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의 전기저항이 줄어들면서 갑자기 많은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다. 번개도 원래 전기가 안 통하는 공기에 전류가 흐르는 절연파괴 현상이다.연구팀은 전하가 공간을 움직일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예전에는 자원의 양이 다양한 종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봤습니다. 하지만 이런 설명은 시간이 흘러도 각 종의 개체수가 거의 일정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에서만 가능하죠. 실제로는 그렇지 않거든요. 플랑크톤의 개체수는 매우 무질서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여러 종의 플랑크톤이 같은 틈새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갑자기 무슨 소리냐고요? 우리가 마주치는 일상은 유클리드 공간만 있어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요. 그렇다고 유클리드 공간이 세상의 전부라고 할 수는 없죠. 진짜 세상은 위상공간처럼 훨씬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으니까요. 원근법도 마찬가지예요. 원근법으로 그린 그림은 오직 하나의 시선으로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월 초 세상에서 가장 위험천만한 ‘배달 사고’가 발생했다. 경기도 오산에 있는 한미합동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이 배송된 것. 탄저균은 치사율이 80%가 넘는 생화학 테 ... 왜 알리지 않았는지, 언제부터 들어와 있었는지에 대해 주피터 프로그램 담당자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 ...
- 스티로폼 볼, 배터리로 다시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깨지기 쉬운 물건을 포장할 때, 스티로폼 볼로 상자의 빈 공간을 메워요. 사용된 스티로폼 볼은 상자와 함께 버려지기 일쑤지요. 스티로폼을 땅에 묻으면, 잘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 ... 구멍이 많아 리튬 이온이 쉽게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전기 저장량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답니다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아쉽지만 두 기자들은 유리창 너머로 챔버를 지켜보며 설명을 들을 수밖에 없었어요. 한주희 기자는 “언젠가 꼭 NASA 같은 우주 전문 기관에 들어가 이런 과정을 직접 해 보고 싶다”고 아쉬움을 털어놨답니다.연구동과 대형광학가공동 탐방을 마친 이용현 기자는 “미국이나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번개를 만들어 에너지를 얻기까지 한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그런데 옆에서 덤덤히 설명하고 있던 번개사냥꾼이 갑자기 씨익 웃으면서 총을 꺼내들었다! 그리고 눈앞에 있던 빈 깡통을 쐈다. 깡통은 움츠러들면서 작아졌다. “내가 개발하고 있는 전자총이에요. 작은 인공번개를 쏘아 쓰레기를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퍼지는 현상은 특정 공식으로 설명할 수 없고, 감염자 수와 같은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이번 메르스 확산도 마찬가지다.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는 수학동아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질병관리본부에 보건통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부서가 없는 것도 문제지만,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남자 얼굴 또는 여인의 모습으로 보이는 곳은 카타스트로피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내리막길에서 평형을 유지하려던 모래더미가 어느 순간 작은 힘에도 와르르 무너지는 것처럼, 계속 남자 얼굴로 보이던 그림도 어느 순간 아주 작은 차이로 여인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다.지각성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