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성과 지성 갖춘 과학영재의 배움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원하는 학생들은 첨단기자재를 갖춘 R&E 연구실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자신의 관심
분야
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는 일도 가능하다.박지연 양은 “두뇌영상기술 fMRI를 이용한 과학자와 과학고 학생의 두뇌 활성 패턴 차이에 관해 연구했다”면서 “과학자들은 추론 과정에서 쾌감을 느낀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같은 전자·IT 제품과 함께 자동차, 조선을 꼽을 수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철강
분야
도 빼놓을 수 없다. 도대체 이런 생산물들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질까.단일 제철소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광양제철소 야적장에는 세계 곳곳에서 들여온 철광석과 코크스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그러나 하늘을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빛을 받았을 때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등 연구
분야
를 분자세계 전체로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다양한 생명현상을 이해하려면 우리 몸을 이루는 수많은 단백질이 어떻게 생겼으며, 그 구조가 바뀌면서 기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야 한다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정부 차원의 협조가 불가피하고 국제 경쟁이 치열한
분야
이기 때문에 정책적 시야와 글로벌한 시각을 가진 사람이 필요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 우주항공구조공학은 주로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다루고 대학에 따라 기계공학과에도 개설돼 있다.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있는 망원경을 연결해 큰 구경의 효과를 내는 것. 이것이 간섭계로, 아직 광학망원경
분야
에서는 어렵지만 전파망원경에서는 널리 쓰이고 있다.천체에서 나온 전파가 각각의 전파망원경에 도달한 시각과 전파망원경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알면 두 신호를 조합해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서로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가장 중요한 파장인 근적외선으로 관측할 수 있다.근적외선은 21세기에 꽃필 우주생물학
분야
에도 가장 중요한 파장이다. 우주생물학은 외계행성의 관측에서 출발한다. 물론 외계행성 탐색전용 우주망원경인 구경 1m짜리 케플러우주망원경도 제 역할을 다하겠지만,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6m란 큰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않지만 세피아는 ‘회색 기운이 있는 짙은 갈색’의 이름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사진
분야
에서도 세피아란 용어가 쓰이는데 사진이 오래돼 변색된 것 같은 효과를 의미한다. 다양한 기능을 지닌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세피아 모드’로 사진을 찍어 한껏 멋을 낼 수 있다.한편 오징어먹물은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타민이 돼버린 비타민D에게 이제는 호르몬의 지위를 돌려줘야 하지 않을까. IU약학
분야
에서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로 비타민D의 경우 0.025㎍이 1IU다. 우리나라의 비타민D 1일 권장섭취량은 200IU로 5㎍에 해당한다.“미국 같은 경우 우유나 과자에 비타민D가 보강돼 있다.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5위는 지난 11월에 발표된 2008 노벨 과학상 수상자 가운데 일본이 물리학과 화학
분야
에서 4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는 소식이 차지했다.그 뒤를 이어 2008년 6월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에 성공해 핵융합 에너지 개발의 발판을 마련한 한국형 인공태양 ‘KSTAR’와, 새 정부의 조직개편안에 따라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계공학을 접목한 연구에 흥미를 갖고 있던 필자는 유한요소법을 공부하고 싶었고, 그
분야
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김 교수의 연구실을 택했다. 유한요소법은 자동차나 선박, 건물 같은 큰 물체를 무수히 많은 작은 격자로 나눈 뒤 충돌 등 물리적인 변수가 생길 때 형태가 어떻게 변할지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