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실험 결과 적당히 제조된 레이저광은 비교적 큰 변화 없이 공기 중에서 수백m를 진행하고
물
속으로 들어가면 신속히 압축돼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이 레이저 장비는 항공기에 탑재돼 잠수함과의 통신에 활용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 ...
항공대란은 마그마와 빙하의 합작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비요른 에이나르손 박사는 “이번 화산 폭발로 분출구 주변의 빙하가 녹으면서 마그마에
물
이 잔뜩 섞인 탓에 화산재가 다량으로 생성됐다”고 설명했다.화산재 구름은 바람을 타고 북유럽과 러시아, 시베리아를 거쳐 한국과 일본으로 확산됐다. 기상청은 4월 19일 “화산재가 아주 미세한 데다,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어디서,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를 마치 일기예보처럼 예측할 수 있다. 미국 뉴욕 예시바대
물
리학과 세르게이 벌디레브 교수팀은 수리적 방법을 사용하면 커넥톰 같은 복잡계 연결망에서 질병이나 사고로 특정 노드가 망가졌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좋은 환경을 찾아 강
물
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지금의 강바닥은 부유
물
로 뒤덮이고
물
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밭을 찾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황복이 올라갈 강줄기를 막고 있는 보와 댐이다. 대규모의 간척사업과 강 하구에 설치되는 ... ...
세계 최고층 건
물
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내가 피라미드를 만들 때 썼던 지렛대의 원리랑 비슷한 건데 말이야.러고 보니 최고층 건
물
의 비밀이 특별한 게 아니라 내가 아는 것에서 한단계 발전시킨 것들이로구먼! 콘크리트에 들어가는 시멘트나 크레인이 평형을 유지하는 원리도 내가 피라미드를 지을 때부터 알고 있었거든. 동양에 ... ...
수학으로 산호가 아픈 이유 알아 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자들은
물
의 온도를 달리하여 박테리아의 움직임을 살펴보았습니다. 실험결과
물
의 온도가 차가워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박테리아가 변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연구팀의 로라 존스 박사는 “대양의 온난화와 기후 변화를 막는 것이 시급하긴 하지만 갑작스러운 변화를 꾀하기보다는 천천히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 학계의 고척추생
물
학, 동식
물
분류학 등 생
물
학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소수학문을 보호하고 학문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 정도로 이상적이지는 않다.이상적인 투명망토가 등장하기까지는 심각한 장애
물
부터 자잘한 골칫거리까지 여러 장벽들로 가로막혀 있다. 과연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를 기대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다. 하지만 누가 알겠는가. 어느 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튀어나와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를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생
물
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시세계를 들어 올리는 광집게가 앞으로 얼마나 더 큰 가능성을 들어 올릴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 ...
물
!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윗부분만 얼게 된다. 또한
물
의 수소 결합은 붉은빛을 잘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얼음은
물
보다 수소 결합이 25% 정도 많은데, 두꺼운 얼음인 빙하는 수소 결합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붉은빛을 잘 흡수하므로 푸르게 보이는 것이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