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경 IMO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있고 서방국가에서는 민간단체가 이를 담당하고 있다.IMO 문제는 출제 범위가 우리
나라
의 교과과정과 많은 차이가 있으나, 한번 도전해 보고자 하는 학생은 다음의 몇가지 참고사항에 유의해 공부하면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으리라 믿는다.첫째로 중 2, 3학년 때 배우는 평면 논증기하학의 내용과 ... ...
수학공부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입시공부에 바쁜 가운데서도 수학에 열의를 보여주는 학생들이 많다는 사실은 우리
나라
수학의 앞날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그들은 때로는 편지로, 때로는 이제 대학생이 된 모습으로 자신들의 연구결과나 의문점들을 남에게 알린다. 짝수차의 마방진에 대해 연구했다는 학생도 있었고, 5차 ... ...
보이지 않았던 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기록하고 있다.그러나 1054년도의 초신성은 충분히 빛났으므로 발전된 기술을 지닌
나라
의 천문학자들에 의해서만 기록될 필요는 없었다.(비교적) 원시적인 사람들까지도 계절의 변화를 지배하는 천체의 현상을 알아야만 했기에 하늘의 특별한 징후를 지켜보아 왔다.'고대 천문학'이라고 일컬어지는 ... ...
입자물리학계의 석학 강경식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지요. 이 가속기가 완공되는 2000년 이후에는 여기에 못끼는
나라
는 물리학 연구에서 영원히 낙오될 것이기 때문입니다."75년부터 고국에 드나들면서 프로젝트 자문 및 공동연구 학위강좌 등을 꾸준히 수행해 나름대로 국내 물리학계에 이바지 해온 강박사는 한인 ... ...
경기용차의 구조와 성능「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노력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그립(grip) 및 날개를 사용한 공력(空力)의 아래압력(down force)이 증가한 덕분이다.우리
나라
는 아직 자동차 경기가 없다.자동차경기가 모험스포츠이긴 하지만 자동차 기술발전에 결정적인 공헌을 한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도 한번쯤 자동차경기를 개최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자동차에 관련된 ... ...
상업용 인공위성 시장에 신기류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일본 등도 상업위성 시장에 진출해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 이들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나라
는 일본이다. 강력한 H-1 로켓을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우주 로켓용 엔진을 미국에 공급하고 있다. 일본기업은 미쓰비시 도시바 일본 전기를 비롯 75개사가 컨소시엄을 형성해 위성 및 로켓 제조를 위한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수만개의 부품과 각양각색의 첨단기술이 뒤얽힌 종합시스템산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무시되기 쉽다. 이를 개선하려는 인간공학의 실체는?우리 ... 하겠다. 과연 과학기술의 목표가 무엇이며 누구를 위한 것인가를 인식한다면 우리
나라
에서의 인간공학의 장래는 매우 밝아질 수 있다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특징이다. 이는 조선시대의 한국인이 찾아낸 신기술이고 고유기술이다.특히 인구가 적은
나라
라는 점을 고려한 인쇄술이었다. 책의 발행부수가 많아야 2백부 정도고 펴내야 할 종류는 수천가지가 넘었으니 그 까다로운 요구조건을 맞추자면 금속활자 외에는 대안이 없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예를 들면 멕시코의 성인은 미국 영국의 성인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잠에 할애한다. 세
나라
사람들이 밤에 자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으나 멕시코인들은 낮에 시에스타(siesta)라는 낮잠을 꼭 챙기기 때문이다.군소속 연구소에서도 수면에 관한 연구를 계속 축적시키고 있다. 전쟁터에서는 24시간 동안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연수받으러 간 '포스트 닥'(post doc.) 또는 유학을 마치고 그
나라
의 대학이나 연구소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빛나는 얼굴들이 있다. 실험도구 없는 화학자, 하태규맨먼저 스위스 취리히공과대학의 하태규박사(56)를 꼽지않을 수 없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