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공세적 경영을 추구해야 한다. 자동차와 반도체 수출에서 얻은 경험을 이제는 농업 생명
공학
에 접목할 때다. 이를 위해 첨단 과학기술과 경영정책에 기반을 둔 전문가 집단의 기획력과 조직력이 필요하다.우리나라가 농업에서 취약한 이유는 적절한 투자와 경영관리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소행성을 폭파시키고 수만광년이나 떨어진 다른 세계를 곁눈질할 수 있는 항공우주
공학
의 미래는 무한하다. 방 교수와 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의 석사과정 6명과 박사과정 6명은 오늘도 우주를 누비는 꿈을 꾼다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등의 보조 추진용 로킷을 의미한다 이 부스터는 연소 후에 즉시 떼어버린다 그리고 전자
공학
에서 쓰이는 부스터라는 용어는 전원 전압의 일부분을 전원의 상황에 따라 상승 또는 드물게 감소시키는 것을 뜻한다 방송국이나 철도 등에서 이용된다2개 또는 그 이상의 뼈가 서로 움직일 수 있도록 ... ...
손가락처럼 민감한 센서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로봇도 인간의 손가락처럼 섬세한 촉각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미국 네브래스카대 화학
공학
과 비벡 마헤스와리와 라비 사라프 교수는 압력과 감촉에 반응하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 필름’(electroluminescent film)을 이용한 새로운 센서를 개발해 ‘사이언스’ 6월 9일자에 발표했다.센서에 물체가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끈 ‘가로본능폰’처럼 가로로 긴 화면이나 독특한 곡선을 가미해 한손에 쏙 잡히는 인간
공학
디자인의 휴대전화가 눈에 띄게 늘었다. 최근에는 두께가 6.9mm인 ‘울트라 슬림폰’도 등장했다. 휴대전화 디자인의 끝은 어디일까.요즘도 쓰는 ‘유니버설 500’벨 전화회사가 처음에 내 놓은 전화기는 ... ...
나노 분자 헤쳐 모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쌓이는 자기조립은 영화 속에서만 가능한 것일까. 나노분자 스스로 회로 만든다신소재
공학
과 연성나노소재연구실의 김상욱 교수는 자기조립 원리를 이용해 반도체 회로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젤리처럼 부드러우면서도 고유한 모양을 갖는 연성 소재 중의 하나인 고분자 물질은 입자 여러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현재는 각종 경기에서 특정약물을 검출하는 검사, 즉 도핑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2) 금속
공학
에서, 어떤 재료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그 재료에 다른 물질을 아주 조금 첨가시키는 일 가령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전구의 필라멘트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텅스텐만으로 빛을 내게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나오는 향기 분자를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비로운 향수를 만들었던 것이다.국내 생명
공학
벤처업체 ‘바이오트론’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배양한 김치 유산균이 항암작용이 있는지, 줄기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는지 실험해보자고 제안했다. 김치 유산균 배양 임무는 한국만의 고유한 연구라는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976년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태권V는 날개도 없는데 자유자재로 비행한다. 발바닥에 있는 분사구에서 불을 뿜으며 육중한 로봇이 떠오른다. 때로는 별도의 장치 없이 우주까지 무리 없이 날아간다.태권V와 비슷한 일본의 마징가Z는 날개와 제트엔진 역할을 하는 ‘제트 스크랜더’(Jet Scrander)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세계관을 거부하고 생명 현상을 ‘살아있는 자연’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현대 생명
공학
은 DNA의 염기서열을 읽어 마치 생명체의 형성 비밀을 모두 찾은 것처럼 말하지만 쉘드레이크가 보는 유전자는 생명체라는 건물의 전체 설계도가 아니라 단백질이라는 벽돌 또는 골재의 설계도일 뿐이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