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우주배경복사의 B-모드가 중력파와 급팽창이론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급팽창이론 첫 증거 찾았다Part 1. 왜 이렇게 떠들썩하나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Part 4. “정확도 99.999999636 ... ...
북극을 누빈 ‘미니’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공룡 나누크사우루스]중생대 후반이던 약 7000만 년 전, 북극권인 미국 알래스카 지역을 거닐던 초소형 티라노사우루스류 화석이 발견돼 화제다. 티라노사우루스류는 북미와 아 ... 나누크사우루스가 트로오돈과는 다른 방식으로 먹이를 사냥했을 것이라고 보고 연구를
계속
하기로 했다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민족주의자 집단에서 찾을 수 있다.인류의 지성이 진보한다고 하는데, 왜 이러한 일이
계속
일어날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아돌프 히틀러라는 전쟁광을 겪었는데도 여전히 여기저기서 전쟁을 부추기는 세력이 허다하다.어려운 시기엔 편집증 지도자가 등장한다진화심리학자들은 이들이 ‘편집적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공룡 알을 주워 먹었다. 이렇게 포유류가 밤을, 공룡이 낮을 지배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에베레스트 산보다 높이 나는 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산소 농도와 공기 밀도를 고지대와 비슷한 수치까지 낮췄다. 온도는 제외했다. 그리고
계속
해서 산소와 공기 밀도를 낮추며 더 높은 지대의 환경을 만들었다. 4000m 높이에 해당하는 공기 조건에서도 6마리 모두 이상 없이 비행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일부는 에베레스트 정상 높이인 900 ... ...
시속 320km로 내리꽂는 하늘의 지배자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나무에 가만히 앉아 지켜볼 때가 많다. 만약 높은 나무가 없는 너른 들판이라면 날갯짓을
계속
하면서 허공에 가만히 멈춰서 있는 ‘정지비행’을 한다. 공중에 전망대를 만든 셈이다. 그러면서도 머리는 움직이지 않고 먹이를 주시한다. 하지만 말똥가리나 물수리를 비롯한 맹금류들의 정지비행은 ... ...
간질과 ‘코 다 페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일을 포기해야 해요. 도저히 일을 하지 못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지 않으면 그냥 일을
계속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의사를 만나봤자 없는 살림에 병을 고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에야, 굳이 돈벌이 기회를 버리고 진료시간에 맞춰 올 이유도 없죠.이처럼 인종과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컬링’여기는 컬링 경기장입니다. 한국 여자 대표팀이 선전을 펼치고 있네요. 얼음을
계속
닦는 모습을 보고 컬링을 우스꽝스럽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알고 보면 재밌답니다.20㎏의 돌(스톤)을 하우스라고 부르는 1.83m 원 중심에 상대편보다 가깝게 보내면 이기는 경기예요. 각 팀 4명이 한 명씩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무한과 수론, 그리고 우주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혼란스러운 등식을 만날 수 있다. 혼란스러운 이유는 등식의 왼쪽, 즉 소수점 다음에 9가
계속
된다는 게 무슨 뜻인지 그 의미를 설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를 표기할 때 9999=9×1000+9×100+9×10+9×1인 것처럼 사실은 0.9999…이란 수는 9×0.1+9×0.01+9×0.001+9×0.0001+…, 즉 무한히 많은 작은 수를 더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처리 작업하고 있다. 이번 탐사를 지원해준 화성시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