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 등뼈가 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했다. 하지만 이들 모두 하나의 가설로만 존재할 뿐이다. 연구자들은 지금도 모든
가능성
을 열어놓고 척추 측만증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그렇다면 척추 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측만증은 만곡이 진행되기 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나면 진상만 남는다는 것이 추리소설의 가장 중요한 논리지만, 우리는 있을 수 있는 모든
가능성
을 다 생각해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현실에서 벌어지는 실제 사건은 더욱이 이런 경우와 거리가 멀다. 모든 사건 정황을 알기도 힘들 뿐더러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우연적인 요소가 너무도 많다.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복제인간이 받는 상처복제기술의 결과로 태어난 아이는 인격이 아닌 물건으로 취급받을
가능성
이 있다. 복제인간은 ‘낳는 것’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완전한 독립적인 도덕적 존재로 여겨지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정체성의 혼란으로 인해 복제인간이 받을 심리적 상처는 상당하다.또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응용하려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체 단백질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도 관심이 있지만 응용
가능성
이 있는 단백질에 관심이 더 크다. 이를 위해 프로테오믹스를 하나의 ‘수단’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 두분야가 철저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테오믹스는 시작된지 겨우 5년 남짓한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 없다. 스타 워즈의 '다스 베이더'처럼 마지막 순간에 선한 사람으로 되돌아올
가능성
도 없다. 그리고 소멸돼도 언젠가 부활해 모든 것을 지배하려고 달려든다. 영화 속에 등장한 절대 악으로는 제 5원소의 검은 행성, 에어리언 시리즈의 괴물 등을 들 수 있다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말라리아 기생충과 모기의 게놈 해독 역시 새로운 모기 퇴치제와 말라리아 백신 개발의
가능성
으로 크게 평가받았다. 또한 다양한 수용체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올해의 업적으로 선정됐다. 피부에 존재하는 ‘TRP 이온 통로’가 칼슘 등의 이온 농도 변화를 통해 외부 온도를 인체로 전달한다는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유전자 조작은 자칫 걷잡을 수 없는 방향으로 마구 뻗어나갈
가능성
이 농후하다. 유전자의 기능들이 속속 밝혀지고 각자가 가진 결함들이 어떤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지를 알게 될 때 그 유전자를 보다 훌륭한 유전자로 바꾸고 싶은 욕망이 왜 일지 않겠는가. 노화의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좀더 작은 블랙홀의 무리가 병합해 거대블랙홀로 커진 것으로 말이다. 물론 전혀 다른
가능성
도 생각해볼 수 있다.최근 찬드라 X선 망원경은 별 질량의 블랙홀과 거대블랙홀을 이어주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불규칙은하 M82에서 태양 질량의 5백배에 해당하는 블랙홀을 발견한 것. 이 블랙홀이 M8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신약개발의 최전선과 후방 지원부대를 잇는 튼튼한 교두보를 확보해 신약개발의
가능성
을 한층 높일 것”이라고 말한다.유 단장에 따르면 프로테오믹스 기술은 DNA 염기서열 분석처럼 쉽게 모방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닌 하이테크 분야고, 질환 관련 단백질은 그 자체가 특허 대상이기 때문에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존재다. 그러나 용의 승천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동물이라기보다는 기상 현상일
가능성
이 높다. 1998년 10월 18일 전국민이 지켜본 울릉도 앞바다의 용오름은 이를 잘 보여준다.용오름은 바다에서 주변공기보다 기압이 낮은 원기둥이 생겨나 이곳으로 주변공기가 일시적으로 몰려들어가면서 마치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