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뉴스
"
안정
"(으)로 총 5,33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지구와 달 근처 라그랑주 포인트에 위성을 띄우면 어느 한 쪽으로 추락하지 않고
안정
적으로 머무를 수 있지요. 하지만 아직 달의 뒷면에는 전파를 보낼 수 있는 장비가 없어요. 이에 중국은 올해 12월, 달의 남극 뒤쪽으로 탐사선 ‘창어 4호’를 보낼 계획이랍니다. 유럽우주국은 지난 8월, 달 ... ...
양자컴퓨팅 개발 열쇠 ‘단일원자 핵스핀’ 측정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데 성공한 바 있다. 윌케 연구위원은 “핵스핀은 전자스핀보다 수명이 길기 때문에 더
안정
적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며 “0과 1은 물론 두 상태가 중첩된 상태까지 다룰 수 있는 양자정보 처리장치를 개발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하인리히 단장은 “우리가 얻은 기초연구 ... ...
빛으로 양자상태 자유자재로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은 여러 개의 양자상태가 갑자기 중첩되면서 바뀌거나 불
안정
해지는 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양자 고리가 미래 양자제어 기술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 ...
“LNG도 언젠가는 고갈될 자원…화석연료 문제 반복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2억5000만 도의 초고온 플라즈마(고온·고압에서 입자가 전자와 이온으로 분리된 상태)를
안정
적으로 장시간 유지하는 기술이 그 중 핵심이다. 비고 사무총장은 “핵융합에너지가 아니더라도 미래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대체 에너지 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 ...
고혈압·뇌질환 치료 효과 높이는 ‘칼슘채널’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안정
적으로 결합하지만,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상호 경쟁이 일어나면서 세포 내
안정
성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칼슘 소단위간의 결합 경쟁이 각종 성인병 발현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다. 서 교수팀은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칼슘 소단위체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할 수 ... ...
손상혁 DGIST 총장 3개월 '감봉'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e메일을 보내 “이사회 결정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며 “앞으로 학교를 조속히
안정
시키고 DGIST가 가치 혁신을 선도하는 대학으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손 총장 측은 “70세까지 정년을 보장받기로 계약하고 DGIST로 왔는데, 이 계약을 연장하는 과정에서 절차상 불거진 ... ...
수소‧산소 동시 생산… 고성능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발생 반응 모두 높은 활성을 보였다. 50시간 이상 사용해도 특성이 변치 않는
안정
성을 나타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실제 수소생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용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저가의 원료를 사용해 수소와 산소를 모두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한 것으로 ... ...
100번 이상 접어도 효율 높은 ‘유기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늘어난다. 실험 결과 100번 이상을 접었다 펴도 기존 효율을 90%까지 유지할 정도로
안정
성도 뛰어났다. ‘유기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등 광물질을 이용해 만든 기존의 무기 태양전지보다 값싸고 제작이 쉬워 차세대 태양전지로 꼽힌다. 유기 태양전지는 효율면에선 상용화 가능한 수준을 ... ...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관건은 핵융합 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1억~2억5000만도 수준의 고성능 플라즈마를 장시간
안정
적으로 구현하는 일이다. 이 본부장은 “태양은 중력으로 수많은 입자들을 중심에 가두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1000만도에서도 충돌 수가 많아 핵융합 반응이 잘 일어난다”며 “반면 ITER의 경우 ... ...
미세한 필터에 ‘터널’ 뚫어 단백질 분자 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방법을 이용해 미세기공 필터에 큰 구멍을 인위적으로 뚫었다. ‘라디칼’이라는 불
안정
하고 반응성이 뛰어난 화학 물질군을 이용해, 마치 다이너마이트로 땅 속 파듯 분리막 소재에 ‘터널’을 낸 것이다. 그 뒤 이 터널 구멍 지름과 비슷한 크기의 단백질을 통과시키며 필터의 기능을 제대로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