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정보"(으)로 총 5,4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틀 사이언스~레볼루션 왕국을 지켜라! 코딩기사 l20181031
- 부모님은 이런 것이 코딩이라고 하셨는데 저는 코딩이 뭔지 잘 몰랐습니다. 저는 이책을 통해서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 정보 찾기 SNS등 수많은 프로그램들은 전부 코딩을 통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렵다고만 생각했는데 정말 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모님이 설명해 주실 때는 어려웠는데 만화를 통해서 배우니 이해 ...
- 귀여운데 오싹해~~ 심해생물을 읽고기사 l20181031
- 궁금해서 이 책을 선택했습니다. 수심 200m보다 깊은 바다를 심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 책의 구성은 각각 생물의 이름, 특징, 정보, 분포, 재미있는 만화, 그리고 아래쪽에 깨알지식이 쓰여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 안내자가 '말랑이'와 '반짝이'입니다. 저도 집에서 어항에 플래티 물고기와 새우를 키우는데 색이 예쁘고 귀엽게 생겼습니다. ...
- [특별이벤트] 스마~아트 작품을 뽐내 보자!놀이터 l20181011
- 어린이과학동아 10월 1일자 화보 '일상 속 한 컷, 영화가 되다! 스마아트(smART)세계' 에서 프랑수아 듀어렌 작가의 작품을 잘 보았나요? 프랑수아 듀어렌 작가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상상 속 캐릭터를 현실 세계로 불러내 ... 주세요! 당첨된 친구들에게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회원정보에 있는 연락처로 개별 연락을 드립니다. 회원 ...
- 이화여대 심화교육을 다녀와서기사 l20181008
- 심화교육이 모두 끝나자 개구리 입체모형도를 받은 뒤 흩어졌습니다. 우수 탐사대원들은 심화교육에 참여하여 기뻤고 유익한 정보를 얻게 되어 좋았다고 하였습니다. 내년에도 탐사 기록을 많이 올려서 심화교육에 꼭 오고 싶습니다. 이런 교육을 마련해 주신 어린이 과학동아에 감사드립니다! 꾸벅~^^ ... ...
- 따로 녹음한 파일 어떻게 첨부하나요?탐사기록 l20181006
- 역시나 위치정보 아무리 해도 안 떠요.여기는 공주시 마곡사 가는 길목입니다.무슨 매미 소리인지 모르겠어요. 자주 듣던 소리는 아닌데..높은 나무에서 들려서 일단 울음소리부터 녹음해 봅니다.그런데 소리 파일을 어떻게 첨부해야 하나요?앱에서 바로 녹음 않고 녹음기 어플로 먼저 녹음했거든요. ...
- 조아조아 - 181005 - 1탐사기록 l20181005
- 직박구리를 만날 때마다 높이 있어서 늘 울음소리로만 구분하게 되네요.비가 한참 쏟아지고 난 후 잠깐 개인 동안 열심히 이 나무 저 나무로 날아다녀요.그나저나 GPS가 너무 안잡혀요. 휴대폰 껐다켜도 위치 정보가 안 떠요. 5분 넘게 새로 고침했는데도 말이죠. 집에 가는 길이라 글부터 올립니다. ...
- 자동으로 물을 주는 스마트 화분이 있다?!기사 l20181003
- 먼저 코딩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딩이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즉 코드를 사용해 컴퓨터에 명령과 정보를 만드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세상에는 코딩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언어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 스크래치 (Scratch)입니다. 스크래치는 그림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
- [창간 14주년 기념 선물대잔치] 3행시를 지어라~!놀이터 l20180928
- 창간 14주년 기념 선물대잔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편집부에서 준비한 선물대잔치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지요~! 편집부 애장품을 위한 미션은 이름으로 삼행시 짓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받고 싶은 애장품 ... 당첨된 친구들에게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회원정보에 있는 연락처로 개별 연락을 드립니다. 회원 ...
- [창간 14주년 기념 선물대잔치] 축전을 그려라~!놀이터 l20180928
- 빰빠밤~, 빠밤! 빰빠밤~, 빠밤! 가 14번째 생일을 맞았습니다! 인기 작가님들이 어과동의 생일을 축하해 주시기 위해 애장품을 내놓으셨지요. 그래서 준비한 '창간 14주년 기념 선물대잔치!' 어과동을 사랑 ... 당첨된 친구들에게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회원정보에 있는 연락처로 개별 연락을 드립니다. 회원 ...
- 어두우면 눈이 잘안보이는 이유기사 l20180924
- 신경 조직으로 안구 내로 들어온 빛은 망막 내층을 지나 망막의 시세포에 감지 됩니다. 시세포는 빛정보를 다시 전기적 정보로 전환하고 이 정보는 망막내층의 시신경을 지나서 뇌로 전달 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우리는 사물을 볼 수 있습니다. 맨날 똑같은 원리로 봅니다. 그런데 어두우면 빛이 없어서 잘 볼 수 없는 것입니다.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