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주기적으로 반복되지 않는다. 즉 어떤
모양
을 떼어서 옮겨도 다른 자리와 겹쳐지지 않는다. 노벨상의 바탕은 수학 인체 내 세포 면역체계가 병원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파괴하는가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로 1996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던 피터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약 43.3m로 같다. 즉 판테온의 바닥에서 천정까지 꼭 맞는 구 하나를 끼워 넣을 수 있는
모양
이다. 판테온 안으로 들어가면 벽에 장식된 조각상이 내뿜는 위엄과 천장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햇빛으로 장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그러나 지금의 판테온은 대리석과 기둥이 없어져 처음 판테온과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대표적인 예가 조선시대 세종 때의 해시계 ‘앙부일구’다. 오목한 반구(구의 반쪽)
모양
으로 해를 우러러본다는 뜻에서 앙부일구라고 이름을 지었다.절기와 시각은 오목한 면에 눈금을 그려 나타냈다. 해가 가장 짧다는 동지에서 시작해 해가 가장 긴 하지에 이르기까지 24절기를 가로선에 그어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보면 원자나 원자군이 대칭구조를 이루며 주기적으로 배열돼 공간을 꽉 채운
모양
이 나타난다. 이런 물질이 ‘결정질 물질’이다. 만약 원자가 규칙적인 배열 없이 무작위로 섞여 있다면 ‘비정질 물질’이라고 부른다. 유리가 대표적이다. 즉 고체는 결정질 물질 아니면 비정질 물질 둘 중 하나로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발생하는 압력, 근육의 움직임,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발광다이오드(LED)가 금실
모양
으로 들어 있다. 특정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빛으로 알린다. 생체 데이터 저장기술과 원거리 전송기술 등과 결합하면 원격측정 의료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 단 지금은 생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수 ... ...
학생의, 학생에 의힌, 학생을 위한 수학체험전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퍼즐’은 기존의 칠교놀이를 변형한 보드게임이다. 달걀
모양
을 닮은 타원형을 부채꼴
모양
이나 둥근 면을 가진 조각 등 9조각으로 잘라져 있어 다양한 모습의 새를 만들 수 있었다. 이번 행사에는 미동초 학생을 포함해 100여 명의 서울 서부지역 학생들이 참여했다. 미동초 4학년 조은진 ... ...
은둔 수학자 페렐만 거부한 100만 달러의 행방은?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문제로 밀폐된 3차원 공간에서 모든 폐곡선(회로)이 수축돼 한 점이 된다면 이 공간을 공
모양
인 구로도 변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페렐만은 이미 2006년 필즈상 수상도 거절한 바 있으며, 최근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자격도 거부했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우주끈은 길고 얇은 물체로 우주생성 초기 물질들이 시공간의 구조에서 끈의
모양
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시공간의 다른 영역들이 상변이를 겪을 때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이는 마치 액체가 응고될 때 결정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나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 형성되는 갈라진 틈과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3차원 구조를 이룬다. 한 줄로 늘어서 있는 게 아니라 각 마디가 이리저리 접혀 덩어리
모양
이 되는것이다. 어떤 아미노산들은 서로 가까이 붙기도 하고 멀리 떨어지기도 한다.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각자 가장 안정된 구조를 이루는데 그 모습은 서로 다르다. 구조는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 ...
코끼리 코 흉내 내는 ‘탄소나노튜브 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완을 반복해 비틀리거나 회전한다”고 설명했다. 구조적인 변화 없이도 움직임이나
모양
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기존 인공근육보다 움직이기가 수월해 로봇이나 생체기기의 재료로 활용될 것”이며 “전압을 바꿔 회전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는 초소형 모터도 만들 수 있다”고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