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언어
발언
표현
단어
언사
소리
language
d라이브러리
"
말
"(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예술 속의 수학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
을 묻자 “평범한 일상에서 수학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재밌는 일을 많이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예술뿐 아니라 일상 속에 어떤 수학이 있는지 관찰해 보라고 권했다 ... ...
[인터뷰] 서검교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인터뷰에 앞서 서검교 교수와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들은
말
이다. 작곡은 물론이거니와 원래 있던 음악도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학도 ... 학계에 보탬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다는 서 교수. 그가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마지막
말
을 남겼다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속 선생님 ‘콴다’ QandA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밝혔다. 인터넷 강의가 등장했을 때 교육 환경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바뀌었듯이
말
이다. 그런데 이 대표는 콴다를 첫 번째 데이터머신이라고 부른다. 왜 데이터머신일까?모든 학생이 공부할 때 잘하고 못하는 부분이 다르다. 학생마다 질문하는 문제도 제각각이다. 만약 학생 한 명, 한 명의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손에 쥐고 있던 돌멩이를 놓쳤을 때 땅으로 곤두박질치며 떨어지는 모습을 보던 누군가는 어렴풋이 ‘중력’이란 걸 느꼈을 테다. 그리고 그게 돌멩이에 있는 어떤 양 때문 ... 이론 등 중력을 설명하는 이론이 다양한 만큼 등가원리 실험 자체도 무궁무진하다”고
말
했다(위 박스 참조)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해밀턴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올바르게 기재하는 방법을 찾았다. 그것도 두 개나
말
이다(그림 3). 한 가지 방법은 각 개체를 ‘행위자’로 간주하는 것이다(그로부터 영향을 받는 수용자는 개체군 내의 다른 개체들과 자기 자신이 된다). 또 다른 방법은 각 개체를 ‘수용자’로 간주하는 것이다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더 정확한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말
했다.슬로우 카우는 탄산 허브티2010년부터 시작된 에너지음료 유행은 유사제품들이 계속 출시되며 더욱더 활황을 맞고 있다. 수면 관련 시장도 규모가 더 커지고, 대중이 더 손쉽게 다가갈 수 있는 방향으로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가도 그림 같다.’ 스위스에 다녀온 분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
입니다.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스위스는 자연과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죠. 연구소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가속기 연구 분야의 세계 최고 기관으로 꼽히는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Paul Scherrer Institute, PSI)는 한가운데에 에메랄드 빛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학생들에게 한마디 부탁 드립니다.남기태 공학자를 꿈꾸는 모든 학생들에게 해당되는
말
일 것 같은데요. 문제를 ‘만들어’ 가는 능력을 키우길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교육 특성상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데에만 너무 익숙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는 의미 있는 문제를 만드는 것부터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목표를 건설적으로 달성하게 해 주는 대안 경로를 택하게끔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
한다. 이를테면, 경쟁적인 스포츠를 즐길 여건을 충분히 제공하는 식이다.저자는 본성을 억압한 채 일부만 일벌백계 해서는 당면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역설한다. 한국 사회를 걱정하는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떠나요.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을 피해 따뜻한 나라로 떠나는 거죠. 따라서 옛 어른들이
말
하던 ‘제비가 가는 강남’은 한강의 남쪽이 아닌 중국 양쯔강의 남쪽 즉, 동남아 지역을 뜻한답니다.아~, 제비가 가는 강남은 우리가 찾아온 서울 강남이 아니었구나! 그런데 지금이 4월이니까 따뜻한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