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나와 같은 사람은 하나도 없다. 손 모양, 지문, 손등의 혈관 패턴, 눈동자의 망막, 홍채까지 모두 저마다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이것이 한계에 이른 개인의 ... 확인된다. 현재 범인 검거를 위해 사용되는 유전자 검사가 개인의 신분증이 되는 시
대
가 불가능한 미래는 아닐 것이다 ... ...
마르코니의 무선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그리고 2년 뒤 미국의 포레스트(1873-1961)가 3극 진공관을 발명했다. 무선전신은 1950년
대
말 트랜지스터가 발명될 때까지 진공관의 도움을 받아 크게 번성했다. 그리고 마르코니는 무선전신기의 발명으로 190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멜라닌이 많이 들어있다. 이들에 비해 우리와 같은 황인종과 흑인종은 흑색 멜라닌이 상
대
적으로 많다.이름만 말하면 누구나 알수 있는 팝계의 세계적인 황제인 흑인 가수가 어느날 하얀 피부색의 백인(?)으로 변신했다. 자신의 인기에는 별다른 변함이 없었지만 당사자로서는 커다란 골치를 앓은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여왕'(1966)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달의 식민지가 지구에
대
해 독립을 선포하고
대
결을 벌인다. 고성능 인공지능 컴퓨터까지 포함된 주인공 일행은 스릴넘치는 액션극을 벌인 끝 에 승리를 얻는다.태양계의 다른 행성들에 지구인 식민지가 건설되는 것도 SF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설정이다.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어렸을 때는 다 영재야." 이 말은 사실이다. 무한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가능성을 최
대
로 실현시킬 수도 사장시킬 수도 있는 영재교육이 중요한 첫 ... 서초구 양재동의 강남문화센터(02-579-4088), 목동 기독교 방송내의 목동센터(02-650-7535),
대
전 분원(042-485-1117)에서 교육이 이뤄진다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증상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병원에 가기도 애매하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현지 시간
대
에 맞춰 행동할 것을 권한다. 잘 안될 경우 병원에서는 햇빛과 비슷한 강도의 강력한 빛을 쏘여 생체시계가 아침으로 맞춰지도록 조치하기도 한다.가위에 눌리는 이유 - 렘수면과 유사한 특성"간밤에 가위에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조작 식품의 안전과 생명윤리'에 괂나 이번 행사가 첫 합의회의다.합의회의에 이에
대
해 답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인다. 2회 정도의 예비모임에서 난상토론을 거쳐 구체적인 질문을 도출해낸다. 본회의에서는 2박3일 정도의 시간을 가지고 전문가와 집중적인 토의를 거친다.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팔리는 iMac 덕분에 애플사는 단숨에 침체의 늪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하루 평균 1천
대
가까이 팔린 셈.iMac은 스티브 좁스 회장의 작품으로 '다르게 생각하자'는 전략을 현실화한 것이라고 평가를 받는다. 한마디로 파격적이란 것. 우선 모니터와 본체가 분리돼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기존 PC와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 시기에 음경이 발기하기도 한다(여성의 경우에는 질에서 분비물이 나오고 음핵이 확
대
된다). 흔히 새벽에 발기를 경험하는 것은 렘수면 상태에서 잠을 깨기 때문이다.렘수면 동안 음경이 발기한다는 사실로부터 발기부전증이 심리적 원인에 의해서인지 아니면 생리적인 이유에 따른것인지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에 수십만개가 흩어져 있다.
대
부분은 크기가 수km에 지나지 않으나 가장 큰 소행성인 세레스는 지름이 약 9백km에 이른다. 1801년 세레스가 발견된 이래, 크 기가 크고 밝은 소행성들은 거의 모두 찾아졌고, 이제는 밝기가 16등급 이하인 작은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