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위해서는 바다를 알고 직접 겪어야 한다’는 평소 지론을 잊지 않았다. 강연을 막
끝
내고 나서는 루즈리를 만났다.이번이 첫번째 방문인데 한국 바다에 대한 인상은?아주 오래 전부터 수산업과 조선 분야에서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와보고 싶었다. 도착 직전 하늘에서내려다 본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단안경을 눈에 대고 보는 외알안경이 유행했다. 현재의 안경처럼 귀에 안경다리의
끝
부분을 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기는 1850년 이후다. 이때 벌써 무테안경이 등장하기도 했다.유리에서 플라스틱으로 재질 변화그럼 안경테나 안경렌즈의 재료는 어떻게 변화돼 왔을까. 안경테의 재료로 금속이 ... ...
믿음은 호르몬 현상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소망과 사랑은 이 세상
끝
까지 영원하며….’ 잘 알려진 노래가사에 따르면 믿음은 영구불변의 가치다. 지난 11월 9일 미 뉴올리언즈에서 열린 신경과학회에서 미 클래어몬트 그래듀에이트대 폴 자크 박사팀은 믿음이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과 관계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에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주워 나무 속 구멍으로 넣고 꿀을 찍어먹는다. 자세히 보니 나뭇가지를 넣기 전에
끝
을 이빨로 씹어 솜처럼 만든다. 꿀이 좀더 잘 묻도록 하기 위한 지혜다. 구달 박사는 오랑우탄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장면이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1977년부터 미국, 탄자니아, 영국, 독일, 캐나다 등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선명한’ 화질에 대한 요구는 더 거세질 것으로 판단된다.휴대폰으로 홈페이지 관리
끝
바쁜 일상. 좀처럼 관리되지 않는 홈페이지. ‘글 좀올리라는 친구들의 성화에 관리는 해야겠는데 어쩐다.’ 단 1분도 컴퓨터 앞에 앉아 있기 힘든 영업 사원들이 요즘 흔히 겪는 고민이다.최근 ‘망개방’을 ... ...
철가루 훈련대장 자석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라크 파병 논란이 한창이다. 모험이와 슬기는 파병 문제를 토론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다 잠이 들었다.꿈속에서 한참을 걷던 모험이와 슬기는 어느 ... 못이 붙을 수 있다. 전기제품을 조립하는 공장에서는 이 성질을 이용해 드라이버의
끝
을 자화시켜 작업을 좀더 쉽게 하기도 한다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바탕으로 본격적인 우주발사체 개발을 1973년부터 진행했다.3백명의 인력이 7년의 노력
끝
에 40kg의 위성을 지구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SLV-3호를 개발했다. 4단계의 고체연료로켓인 SLV-3는 성능이나 재원에서 미국이 1960년대 중반에 개발한 스커트(Scout) 로켓과 흡사했다. 하지만 SLV-3는 스커트가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유일한 동양인 아닙니까?드디어 나에게도 기회가 온 것일까? 어제 다윈의 식탁 둘째날이
끝
나고 정리모임을 하던 중에 한두번쯤은 서기에게도 발언할 수 있는 기회를 주자는 의견들이 나왔었다. 그리고 엊그제 사회자와 우연히 한국음악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다. 그것을 잊지 않고 이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가늘고 긴 원통 속에 나사모양으로 깊은 홈을 판 축(軸)을 꽉 끼운 것이다 이 통의 한
끝
을 물 속에 넣어 인력으로 통을 회전시키면 아래쪽의 물이 나사모양을 한 홈의 빈곳을 타고 올라오므로 물을 길어올릴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주위의 유체에서 받는 압력의 합력으로서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속 세포핵과 다른 모양 발견흰쥐와 토끼를 이용해 이같은 반복 실험과 실패를 거듭한
끝
에 2003년 6월김봉한박사가 주장한 혈관 내 실같은 구조를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전혀 새로운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가능했다. 그 핵심 기술은 형광을 내는시약(Acridine Orange)을 통해 봉한관의 세포핵 물질을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