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286을 486으로 만드는 칩 개발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하지만 이 방법은 마더보드에 오버드라이브 소켓이 달린 486에서나 가능해 286에는 '그림의 떡'인데다가 CPU 삽입 후에도 클록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변경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그리 많이 실행되지는 않았다. 게다가 시스템의 안정성도 보장하지 못했다.이 칩의 국내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과학동아 l1994년 06호
- 고도의 각과 관계가 있다. 눈으로 인식되는 하늘의 모양을 알아보기 위해 사람들은 (그림1)에서 나타낸 것처럼 천정을 지나는 수직원에서 호의 중점의 고도를 측정하였다. 사람의 눈으로 정확한 호의 중점을 정하고 그 고도를 측정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여러번의 측정을 통해 ... ...
- 생물 - 빛·공기·물의 오묘한 조화, 광합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양으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우선 온도와 광합성의 관계를 조사하는 실험을 살펴보자.그림과 같이 하여 일정 시간당 나오는 기포수를 측정하면 광합성 속도의 차를 알 수 있다.보통 온도보다 저온으로 만들 경우 얼음을 넣어 수온을 내리고, 고온일 때의 광합성 속도를 조사하고자 할 경우는 더운 ...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할 수 있게끔 그 내부가 뜨겁게 녹은 이유는 목성의 강력한 조석력 때문이다. (그림1)에서 보듯이 이오는 목성의 조석력에 의해서 궤도의 위치에 따라 형태가 바뀌므로 내부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이오 내부는 강한 열이 발생하여 녹아 버린다. 이오의 지각(crust)은 녹은 용암 위에 떠있는데, ...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충남 전북형 이마에서는 측면 윤곽선이 직선형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마의 등고선형과 그림그리기형을 대조해보면 삼각형형중 측이마 직선형은 시각형의 그리기 빈도가 높았다. 삼각형형의 측이마 둥근 형과 아치형의 측이마 둥근형도 개념형 그리기의 빈도가 높았으나 예술형 그리기형은 주로 ... ...
- PART.1 동화상 재생 편집, 멀티미디어 만끽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파일로 저장한다. 반드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에서 잡을 필요도 없고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려서 만들어도 무방하다. 다음에는 사운드카드를 이용해 각 사진에 대한 설명을 컴퓨터 안에 녹음해 둔다. 사운드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한번쯤은 해보았을 작업이다. 전자 사진첩에 넣을 사진과 ... ...
- 터빈없는 발전기 MHD과학동아 l1994년 05호
- 통과한 후에는 아직 가스 가운데 남아 있는 열을 회수시스템에 의해 회수해 재이용한다(그림1).이 2단계 시스템을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에서 실험한 결과, 80% 가까운 높은 열효율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오사카대학 원자력공학부에서도 이와 똑같은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이밖에도 ... ...
- 윈도즈용 프로그램 베스트 15과학동아 l1994년 05호
- 학습용 소프트웨어들이 선을 보이더니 최근에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강한 열풍과 함께 그림 사진 동화상 음성등을 다각적으로 지원하는 학습 보조 도구들이 많이 우리들 눈에 띈다. 인간의 학습욕구는 영원불멸한 것이므로 앞으로 좀더 다양한 CAI 관련 소프트웨어들이 선을 보일 것이다.이 ... ...
-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과학동아 l1994년 05호
- }^{32}$P 방사성 동위원소를 처리한 ${T}_{2}$ 파지)를 숙주 세균(대장균 : E.coli)에 감염시켜, (그림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하면, ${ }^{35}$S 아닌 ${ }^{32}$P가 세균에 주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대장균 속으로 파지의 DNA만이 들어가는 것을 뜻하며, 30분 정도 지나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성큼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필자의 연구부서에서도 필적할 만한 결과를 얻고 있다(그림 1).마이크로 레이저는 지름이 1μ(1만분의 1㎝)보다도 작고, 높이는 8μ 정도되는 원통형 또는 원판형 반도체 미세구조로서, 사방 수㎝인 칩 위에 수백만개의 미세 원통들이 가로 세로 빽빽히 정렬된 모양을 ...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