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찾아 거기에 매진하라고 조언해 줍니다. 전망이 좋을지, 경쟁이 치열할지 물으며 시
간
을 허비하지 말고 자신이 진정 하고 싶은 일을 즐겁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지요.”이 교수는 청소년들에게 즐겁게 할 수 있는 일 가운데 과학과 공학도 있다고 강조했다.“비선형광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반도체 칩이나 집적회로에서 층
간
·칩
간
신호 전송속도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 신호 연결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분자를 구별하는 센서를 만들 수도 있고, 표면 플라즈몬 파를 소용돌이처럼 만들어 그 안에 미세입자를 잡아두는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나쁘지 않은 휴대전화다. 학교는 수업시
간
에는 휴대전화를 쓰지 못하지만 특별활동 시
간
만큼은 예외로 허용한다. 하지만 휴대전화로 인터넷은커녕 전화통화도 할 수 없다. 우리나라 2세대 휴대전화 방식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과 정보를 예로 들면 이 방식은 사람의 음성과 정보를 수십만 개의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것이다. 왜상(anamorphosis)은 일반적인 시각에서 보면 대상이 뒤틀려 보여 무엇인지 분
간
이 가지 않지만 특별한 각도로 보거나 곡면 거울에 비추어 보면 왜곡이 사라져 제대로 보이게 그리는 기법이다. 이 그림을 제대로 보려면 왼쪽에서 오른쪽 대각선으로 올려다보거나 원기둥 거울을 통해 보면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금은 2001~2002년에 게임에 도입된 모션 컨트롤 기술이 막 성숙한 시기이므로 당분
간
이를 이용한 체감형 게임이 주류가 되리라는 예측이다.그러나 가정용 게임기 밖으로 눈을 돌려 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기기가 널리 퍼지면서 게임 시장도 크게 바뀌고 있다.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눈금을 읽을 수 있다. 또 줄자 윗면에는 시각장애우를 배려한 수표점자가 있어 물체나 공
간
의 길이를 잴 때 도움이 된다. 줄자의 네 모서리는 고무로 되어 있어 떨어질 때 충격을 줄여 준다. 이지 픽(자)길이를 측정하는 반대쪽에 손가락을 집어서 넣을 수 있는 홈이 있어 자를 잡기 편하다. 또한 ... ...
Part 5. 수학자의 꿈, 필즈상 수상자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8월 18일부터 25일까지 하이데라바드에 머물면서 세계 최고의 수학자들을 만나고 왔지. 8일
간
의 수학여행기, 지금 만나러 가 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가까운 유리수로 나타내는 방법인 리틀우드 추측을 해결하셨어. 리틀우드 추측은 80년
간
미해결 문제로 있었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한글 자음 'ㅇ'은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찍기 때문에 태양활동의 3차원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SDO는 고해상도의 사진을 거의 실시
간
으로 전송한다. 방사선대폭풍관측위성은 2기의 위성이 편대 비행하면서 밴앨런방사선대를 관측할 예정이다. 일본도 유럽연구진과 함께 HINODE 위성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뉴저지공대와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없지만, 황준묵 고등과학원 교수는 15년
간
미해결 문제였던 라스펠트의 예상과 40년
간
미해결 문제였던 변형불변성 문제도 증명했다. 올해 들어 국가 과학자로 선정됐다. 이러한 공로로 2006 ICM 초청강연자로 초대받았다. K3곡면에 관한 연구로 세계 수학계의 주요 학술지에 논문을 실은 금종해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