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적
목표
상대
목적
과녁
타깃
타게트
스페셜
"
대상
"(으)로 총 4,053건 검색되었습니다.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커리어 패스를 제안해주실 수 있으신지요? 아직 초기라 방사선 관련 전공자만을
대상
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차차 원자력, 에너지, 의료보건 계열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사실 전공보다 중요한 것은 카운슬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마음가짐입니다. 바로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고 타인의 ... ...
원전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점에서 지금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긴 하다. 그러나 사람이 아니라 기계가
대상
이라면 ‘압박’이 매우 유용하다. 실제 업무에서 사람을 극한까지 몰아붙이는 일은 어지간해서는 없지만 기계는 극한 상황에 처하는 일이 자주는 아니더라도 간혹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에서 일어난 큰 ... ...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상실됐을 때의 대응능력을 평가한다. 안전기능 유지와 복구를 위한 설비 평가
대상
에는 필수 고정 설비뿐 아니라 각종 보조설비와 비상시 냉각을 위한 대체수단까지 포함한다. 필수대처기능은 비상운전절차(EOP)와 중대사고관리지침(SAMG)를 참고로 했다. 전력 및 냉각수단 상실 상황은 다양한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맞다고 해도 사람에서도 그렇다는 보장은 없다는 말이다. 물론 2012년 논문에는 사람을
대상
으로 한 실험도 있다. 즉 10주 동안 운동을 한 사람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이리신의 농도가 두 배가 됐다는 데이터가 수록됐다. 그런데 이번 논문에 따르면 이 데이터도 엉터리라는 것. 즉 이리신에 결합하는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쌍둥이의 DNA 분석이나 자라면서 나타나는 변화는 과학자들이 언제나 관심을 갖는 연구
대상
이다. 유전자가 환경과 유전자의 연결고리를 찾고, 노화나 질병을 대처할 수 있는 치료제나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성유전학은 우주에서도 진행된다. NASA(미항공우주국)는 2015년 3월에 쌍둥이 중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발암성 여부에만 신경을 썼기 때문에 염증이나 비만 같은 애매한 증상은 고려의
대상
이 아니었다는 것. 이는 또 다른 식품첨가물인 인공감미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앞으로 사람에 대한 임상연구가 진행돼봐야겠지만 비만이나 특히 염증성 장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은 평소 식단에서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 스위스 로잔 공과대학(EPFL) 제공 우선 평소에 유령을 본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대상
으로 실험에 들어갔다. 이들의 두 눈은 완전히 가린 상태였기 때문에, 주변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할 수 없는 상태였다. 이어서 연구진은 손과 등, 그리고 허리 부위를 자극하는 용도의 두 로봇을 각각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좋아하는 과학을 맘껏 하게 되자 성적도 크게 상승했다. 화학 올림피아드(KChO) 에서는
대상
까지 받았다. 일본 SACLA 4세대 가속기 연구소에서 실험 중 찍은 사진. 가속기 연구소 실험의 특성상 일단 시작하면 2교대로 밤샘 측정을 계속하고는 결국 모두 녹초가 된다. - IBS 제공 고등학교에서 과학의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경우 프레이밍 효과가 더 컸고 암컷은 프레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참고로 사람을
대상
으로 한 실험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왔다. 즉 남성은 프레이밍 효과가 두드러졌고 여성은 연구에 따라 결과가 엇갈렸다. 조삼모사, 즉 프레이밍 효과는 인간의 비합리적 의사결정 패턴이 아니라 유인원이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경우 죽음으로 몰아가는 결핵은 당시로서는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기 때문에 두려움의
대상
이었지만 동시에 신비로운 질병으로 여겨졌다. 많은 예술가들이 결핵으로 쓰러지면서 이런 환상은 더욱 강화됐다. 낭만주의자들은 결핵이 “천한 육체를 분해해 인격을 영묘하게 만들어 주며 의식을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