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4,152건 검색되었습니다.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바닷속으로 흘러 들어왔다. 철은 산소가 없을 때는 물에 녹지만, 산소가 있으면 산소와
결합
해서 산화철 형태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시루떡처럼 쌓이게 된다. 간혹 화산 활동이 잠잠할 때는 바닷속에 많던 규산염이 대신 퇴적됐는데, 이 때문에 검붉은 산화철층과 밝은 규산염층이 번갈아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세월호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곧이어 반잠수식 인양선 두 대를 세월호 옆면에 붙여
결합
시킨다. 그 상태에서 인양선의 평형수를 배출하면 부력으로 세월호를 띄워 올릴 수 있다. 박 교수는 “가장 손쉽고 안전한 방식”이라면서 “비용도 다른 방식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정보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DNA 이중나선은 2개의 긴 분자가 AT와 GC의 염기쌍(수소
결합
)으로 붙어있는 상태다. 그러나 DNA에는 네 가지 기본 염기 외에도 약간 구조가 다른 염기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DNA 염기의 분자구조를 외웠다가 돌아서면 까먹는 일을 ... ...
솔직히, 터미네이터가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15.06.26
연구에서 가장 활발한 분야는 인간의 뇌를 모방한 심층인공신경망에 빅데이터를
결합
해 영상이나 음악, 글자 등 패턴을 학습하는 ‘딥러닝’이다. 구글은 사용자가 올린 사진을 학습해 자동으로 분류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했고, 전자통신연구원은 음성 데이터와 기계 번역 결과를 학습해 외국인과 ... ...
암 치료 효능 8배 올리는 데 성공
2015.06.26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나노복합체를 개발했다. 이 나노복합체에 면역증강 물질을
결합
한 결과 암 치료 효능이 최대 8배까지 획기적으로 높아졌다. 임용택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팀과 박영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교실 교수팀은 공동으로 고분자 물질인 히알루론산과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특성은 이 물질을 치료제로 만드는 데 문제가 될 수 있다. 모든 분해효소가 이 물질과
결합
하는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메세커 교수는 “세포 안에 있는 온전한 형태의 바이러스와 이 억제물질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추가로 실험할 예정”이라며 “다양한 억제물질 후보군을 실험했기 때문에 ... ...
신약 후보물질 골라내는 데 현미경 하나면 끝!
2015.06.22
정면으로 뒤집는다는 학술적 의미도 있다. 샤프만-델브룩 모델은 외부 물질이 세포막에
결합
하더라도 세포막의 움직임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현재까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학술지 ‘안게반테 케미’ 5월 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또 이 기술은 지난해 ... ...
음악은 왜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
2015.06.21
즐긴다. - SBS 화면캡처 음악을 단순히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춤과 같이 운동신경이
결합
된 활동을 겸하면 두뇌가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실제로 흥겨운 음악을 들으면 우리의 몸은 가만히 있질 못한다. 신명나는 춤사위까지는 아니더라도 강렬한 비트의 음악을 ... ...
똑소리 나는 자동차 움직이는 전자제품
동아일보
l
2015.06.19
있다. 첨단 IT를 적용하는 것이 차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자 각 업체는 사물인터넷(IoT)이
결합
된 자율주행차를 목표로 첨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박람회 ‘CES 2015’에서 구본준 LG전자 부회장과 디터 체체 메르세데스벤츠 다임러 ... ...
주사보다 효과 좋은 먹는 백신 나온다
2015.06.16
있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진은 점막에 분포한 뮤신이라는 단백질과 잘
결합
하는 물질을 HPMCP에 덧붙여 ‘T-HPMCP’라는 신물질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T-HPMCP는 이전보다 1.7배가량 회장 점막에 잘 달라붙을 뿐 아니라 산성도(pH)가 7.4인 회장에서 약물을 방출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