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5G) 이동통신 덕분이에요. 일반적으로 각설탕 한 개 크기인 홀로그램 1㎤를 생성하려면 1GB 수준의 데이터 용량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해요. 5G는 4G에 비해 속도는 40~50배 빠르고, 처리 용량도 100배나 많아 가능했지요. 또 지난해 10월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김민경 교수는 홀로그램 ...
- [1교시 개념편] 과학 개념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어과동 과학 교실에 온 걸 환영해요. 첫 번째 시간은 과학 개념 시간이에요. 1교시에 소개할 선생님들은 과학 개념을 만화로, 영상으로 재밌게 설명해 주신답니다. 그럼 수업 시작! 만화로 과학자의 꿈을 키워보세요!‘번개 밴드’와 승객을 태운 기차가 전깃줄을 타고 이동해요. 이 그림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작하거든요. 그러면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낮 12시 아닐까요?그런데 일정한 장소에서 하루 동안의 기온 변화를 측정해보면, 가장 더운 시간은 오후 2~3시랍니다. 그 이유는 물을 끓일 때 시간이 지나야 온도가 오르는 것처럼, 태양의 복사 에너지에 의해 지표면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또 사기를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결합할 수 있는 후각수용체의 종류와 개수가 달라, 이들의 조합에 따라 사람은 총 1만 가지 이상의 냄새를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톡토기'가 비온 뒤 흙냄새를 좋아하는 이유 비가 내린 뒤에 더 진해진 흙냄새를 맡고 정겹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이 냄새의 원인 물질은 ...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750ms 간격으로 깜빡이는 화면을 보여줬다. 그리고 두 그룹에 새로운 자극인 44.1Hz의 백색소음을 500ms 동안 들려준 뒤 소리 자극이 지속된 시간을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250ms 간격으로 깜빡이는 원을 본 피험자들은 소리가 들려온 시간을 실제로 들은 시간보다 길게 느꼈고, 750ms 그룹은 실제보다 짧게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나타났다. 특히 전동 킥보드는 주행 중 무게중심이 많이 흔들렸다. doi: 10.12815/kits.2018.17.5.01 하 사무국장은 “작은 돌출이나 굴곡에도 시속 5~8km 이하로 감속하고 횡단보도는 반드시 내려서 끌고 건너야 한다”며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브레이크와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사속도가 미국, 독일 등 군사 기술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K9A1은 K9 자주포의 성능을 개선한 모델이다. 더 정교한 사격을 위해 사격 과정 전체를 제어하는 사격통제시스템이 개량됐고, 사정거리가 50km로 더 늘어났다. 이보다 사정거리가 긴 자주포를 확보한 국가는 미국과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유전적 계통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상괭이는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약 1만 년 전에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김상화 서울대 수의대 연구원은 2018년 2월 제주도에서 발견된 큰머리돌고래 부검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큰머리돌고래는 제주 해안에서 흔히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 [이달의 책] 인공지능 시대, 십 대를 위한 미디어 수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용 습관을 되돌아보고 똑똑하고 건강한 소비자가 돼보자. 과학스토리텔러 양성 과정 1기 당선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작년부터 ‘과학스토리텔러 양성 과정’을 통해 실제 활동할 SF 작가를 양성하고 있다. 소설뿐 아니라 영화, 만화, 웹소설 등 장르를 가리지 않는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