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회적 행동의 탄생에 주목한 윌리엄 해밀턴은 독학 끝에 드디어 이타성의 뿌리를 밝힐 논문을 완성한다. 이 논문은 다윈 이후 가장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윌리 ... 연구를 알기 쉽게 포장한 과학 대중서에 불과하다는 폄하를 국내에서도 종종 접하는 것은 그래서 안타까운 일이다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펑셔널 머티리얼스’ 2014년 11월호). 이 기저막은 기존 인공 와우의 마이크로폰 대신 소자 안에 든 유체가 음파를 전달한다. 실로폰처럼 길이와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압전소자가 이 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각각 공진하면서 전기 신호를 낸다. 허 연구원은 “음파를 주파수 별로 분리하고 전기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젤리 가게 주인 ‘ 안질리나 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끝난 게 아니라구!” 썰렁홈즈는 젤리 홍보 중?!젤리 벽이 무너지지 않게 되자 비로소 안질리나 젤리는 아까부터 하려던 말을 할 수 있었다. 사실 부모님의 유언은 이 가게를 동생과 함께 해 나가는 것으로, 간판도 미리 다 준비해 놓았다는 것!“흑~, 언니~! 그런 줄도 모르고~!”썰렁홈즈는 자매가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주문해서 남으면 고스란히 손해를 입지요. 그렇다고 닭을 조금만 구입해서 조기품절되면 안 되잖아요? 그래서 저는 데이터를 수집해 사람들의 수요 심리를 예측해 보기로 했습니다.일단 사람들이 치킨을 먹는 데 영향을 주는 변수를 몇 가지 생각해봤어요. 계절이나 날씨, 주말 등이에요. 말복 같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안 되는 8차원과 24차원에서는 케플러의 추측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커다란 상자 안에 크기가 같은 공을 가장 많이 넣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과나 오렌지를 상자에 담을 때 어떻게 담는지 보면 누구나 정답을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그런데 이 문제를 20년 전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P-value만 믿고 마치 통밀빵 20개만 먹으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해서는 안 됩니다. 연구 결과를 볼 때 이런 문제점은 없는지 한 번 살펴보세요. 연구가 과장되지는 않았는지, 이런 결과를 가져온 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닌지 꼼꼼히 따져보길 바랍니다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짚는다. 인간 안에 기계를 심고, 몸의 일부를 인공물로 대체하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다. 이제는 인간이 기계-되기를 실현하고 있고, 이런 상호적인 ‘되기’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어 보인다. 우리는 굉장한 시대에 살고 있다.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어디에서나 작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는 재난 상황에서 짧은 시간 동안 임시로 생명을 유지하거나 구조 요청을 보내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며 “미군 등에서 적군 정찰 목적으로 동물을 훈련시킬 때 웨어러블 소형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려고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동물 몸에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카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다. 염기서열은 1만 개 정도로, 1만8000개인 에볼라보다 짧다. 염기서열은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같이 형 ... 자살을 하게끔 한다는 것이 유력한 가설이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 브라질 정부는 올해 안에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갈 길이 멀다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문에 해외에 요청을 해야 연구할 수 있었다. 나도 그런 이유 때문에 일본에서 오랫동안 연구를 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처음부터 국내 연구자가 연구를 주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초과학 연구의 질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한국이 첨단 연구의 중심이 될 수 있다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