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생태계를 교란하는 ‘괴물쥐’로 알려진 설치류 뉴트리아의 담즙에서 웅담 성분이 발견돼 화제입니다. 개체수가 너무 많아 문제였던 뉴트리아가 하루아침에 멸종을 걱정해야 할 동물이 돼 버렸는데요. 치명적인 기생충과 세균이 있어 먹으면 위험하다는 경고도 많습니다.뉴트리아를 둘러싼 각종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매년 봄이면 전 세계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한다.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산림과학자들은 산불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을 선별해 숲을 미리 정비한다. 해충이 발생해 고사목이 늘어난 숲은 늘 정비대상 상위다. 그런데 최근, 해충이 발생한 숲이 오히려 산불이 덜 발생하고 피해도 적다는 연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아마추어 화석 수집가 프랜시스 툴리(오른쪽 사진)가 1955년 여름, 미국 일리노이 주 마존 강 화석 지층에서 화석 수집을 시작했을 때, 그는 자신의 이름이 고생물학 역사에 영원히 새겨질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진흙 더미를 샅샅이 뒤졌고, 특이한 돌덩이 두 개를 발견했다. 조각난 돌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물질의 등장으로 응집물질물리학 연구 패러다임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발견하고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예측하고 발견하는 일종의 ‘게임’처럼 변해가는 중이다. 2월 22일, 강원도 용평에서 열린 양자물질 심포지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두 명의 ‘헌터’를 만났다.◀Xi Dai 시 다이중국과학원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언제 어디서나 인류와 함께한 음악. 늘 곁에 두고 함께 해서 음악의 존재 이유를 의심해 본 적이 없다. 그런데 미국의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는 음악이 생존이나 번식과 별 관계가 없다며 ‘귀로 듣는 치즈케이크’라고 말했다. 우리는 왜 이토록 음악에 열광할까.누구나 안다. 세상에 뭐 하나 쉬운 ... ...
- 갑자기 똑똑해진 음성인식, 그 비밀은?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아리야, 오늘 날씨 어때?”“현재 서울 하늘은 흐리고 오후 늦게 비가 오겠습니다. 호우주의보가 내려졌으니 주의하세요!”아리? 아리가 누구길래 오늘 날씨를 알려주는 걸까. 아리는 SK텔레콤에서 2016년 출시한 음성인식 스피커 ‘누구’의 이름 중 하나다. 이전에도 음성인식 서비스는 여럿 있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하나 열어 보여준다는 조건은 같습니다.당신의 선택학교를 졸업한 어른도 논리적으로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과연 복제된 왕자에 관한 문제를 접한 어른들은 왕자의 답이 무엇이라고 답할까? 지난 3월 11일에 논리적인 표현을 공부하는 어른들의 모임 ‘두뇌보완계획’을 찾아가 의견을 들었다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2월 17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모으는 크라우드펀딩 웹사이트 ‘쉐어앤캐어’에 ‘수현이가 편히 걸을 수만 있다면’이란 제목의 글이 올라왔어요. 이 글은 등록된 지 5일만에 공유 1079개, 좋아요 1만 420개를 받으며 목표 모금액 320만 원을 채웠답니다. 수현이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 ...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뇌의 계산 능력이 알려진 것보다 100배 더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신경학 및 신경생물학과 미얀카 메타 교수팀은 뇌 신경세포의 수상돌기가 능동적으로 전류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상돌기는 뇌 신경세포 끝에 있는 나뭇가지 같이 생긴 조직으로, 지금까지는 신경세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편집자주 - ‘임창환의 퓨쳐&바디’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Transcendence2014년 개봉한 SF 영화 ‘트랜센던스’에는 주인공인 윌 박사가 자신의 뇌를 다운로드해서 슈퍼컴퓨터에 업로드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놀랍게도 ‘트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