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비행기에 그래핀 장갑 끼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배열된 물질인 ‘그래핀’을 이용해 비행기 날개의 얼음을 없애는 방법을 개발해
발표
했어요.비행기 날개에 얼음이 덮이면 날개 표면이 거칠어져 비행 성능이 떨어져요. 이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얼음을 녹이는 화학 물질을 뿌리거나 따뜻한 빛을 쪼이기도 하고, 직접 얼음을 긁어내기도 하지요. ... ...
[과학뉴스]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19일자에
발표
했다.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핵심 소자인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섬유 위에 딱딱한 고체 전자소자를 붙이는 정도였다.연구팀은 ...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표면이 어두운 이유가 흑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3월 7일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수성 탐사선 ‘메신저’가 수집한 적외선 스펙트럼과, 우주선(cosmic ray)에 실려 태양계에 들어온 뒤 수성에 반사된 중성자의 양을 토대로 표면 성분을 분석했다. 그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찾아내는 컴퓨터 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7일자에
발표
했다.식물의 잎과 잎맥의 모양은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종마다 다르다. 하지만 그 차이가 워낙 미세해서 육안으로는 구분해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잎맥이 잘 보이도록 표백한 식물 잎사귀 7500장을 ...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3D프린터와 근육세포를 이용해 만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4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기장은 생명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좁은 부위의 특정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조종하기 어려웠다.연구팀은 파란색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개발한 딥마인드는 1국이 끝나기 30분 전에, 알파고로부터 승리를 보고 받았다고
발표
했다. 마지막 대국이 열린 지난 3월 15일, 같은 장소에서 다시 해설에 나선 김 9단은 알파고를 ‘알신(알파고와 신의 합성어)’이라고 불렀다. 불과 일주일 사이에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고수는 뒷맛을 남기지 않고,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한국 사람들이 일본의 방사능 오염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정부나 기관이
발표
하는 수치를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원하는 건 정치적으로 독립된 기관에서 측정한 정확한 방사능 수치 정보입니다. 당연한 권리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싸우지 않으면 그런 진실은 얻을 수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포드자동차 연구혁신센터는 지난해 12월 엔진을 플라스마로 코팅해서 재사용하는 기술을
발표
했다. 이는 최근에 선보인 신형 머스탱 쉘비 GT 350R과 같은 고성능 모델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됐다. 환경을 지키는 플라스마● 소각 장치생활 쓰레기 소각장은 도시의 큰 골칫거리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이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어요. 브라운 박사팀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우주를 관찰하던 도중 6개의 작은 천체가 같은 기울기로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또한 이 기울기는 태양계의 다른 8개 행성과도 같은 기울기였지요. 이 ... ...
[가상인터뷰] 벽 타기 선수는 발이 커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다니는 생물들의 몸집이 클수록 발바닥과 벽이 닿아 있는 넓이가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거든요.연구팀은 벽을 타고 다니는 생물 225종의 몸무게와 발바닥의 면적을 비교해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답니다. 예를 들어 도마뱀의 발바닥이 벽에 닿는 면적은 진드기에 비해 200배가 넓었어요. 몸무게와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