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수학통조림 '소수 맛'이 새로 나왔어요! 소수 탄생의 역사, 초등 교과과정의 소수, 중·고등학교에서 소수 개념의 확장, 실생활에서 활용을 원재료로 맛있게 가공했습니다. 영양 성분도 고단백인 걸 보니 여러분의 수학 기초가 튼튼해질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소수의 참맛을 기대하며 통조림 뚜껑 ...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인천 효성 초등학교에 유명한 마술사선생님이 있다는 제보를 접하고 한걸음에 달려왔어. 제보에 따르면 친구들이 좋아하는 수도 척척 맞히고, 도형의 전개도도 마술로 뿅! 하고 나타나게 한대. 수학으로 마술을 하신다나? 어떤 분인지 궁금하지? 지금부터 김택수 선생님을 만나러 가 보자. 벌써부터 ... ...
- 걸리버 여행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Prologue_ 영국인인 레뮤엘 걸리버는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언젠가는 세계를 여행하게 될거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어른이 된 걸리버는 의사 자격으로 배를 타고 머나먼 땅으로 항해를 떠납니다. 그런데 걸리버가 탄 배가 암초에 부딪쳐 산산조각이 나고 맙니다. 바다를 표류하던 걸리버는 이 ...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소리에 관한 한 아이들은 이미 선이 연결된 상태다. 반면에 문자는 고생스럽게 추가 조립해야 하는 옵션 액세서리다. - 스티븐 핑커방금 세계적인 언어학자인 미국 하버드대 스티븐 핑커 교수의 말을 인용하기 위해 키보드의 글자판을 130번 두드렸다. 시간은 수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아마도 기자의 ...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하얀 저녁안개가 피어오르는 고요한 산골의 모습을 담은 김광균의 시‘외인촌’을 읽다 보면 머릿속에 한 폭의 풍경화가 그려진다. 마차는 희미한 안개 속에서 파란 불빛을 내며 달려가고, 하늘엔 새빨간 노을이 펼쳐져 있다. 특히 이 시의 마지막 행을 읽으면 ‘소리가 눈에 보인다’. “분수(噴水 ...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알록달록~ 금방이라도 터져버릴 듯 잔뜩 부풀어 오른 풍선 수천 개가 두둥실 하늘을 날고 있다. 커다란 풍선 다발과 함께 나무로 지은 집도 함께 떠올랐다. 평생 위대한 모험을 하고 싶어 하는 칼 할아버지가 드디어 풍선 다발에 집을 매달고 하늘여행을 시작한 것이다. 지난 7월 29일에 개봉했던 애 ... ...
- 국산 앱스토어 뜬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콘텐츠 수 6만 개, 누적 다운로드 수 15억 건, 월 매출액 3000만 달러(약 360억 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애플의 앱스토어가 낸 성적표다. 앱스토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의 준말로 애플리케이션 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는 모바일 장터를 말한다. 애플이 아이폰을 출시하며 지 ... ...
- 달 알고 보니 '얼음 공주'과학동아 l2009년 10호
- NASA의 무인 ‘달 정찰 궤도탐사선(Lunar Reconnaissance Orbiter)’이 보내온 첫 데이터가 9월 17일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달 표면의 온도로, LRO에 탑재된 ‘디바이너(Diviner)’ 복사계로 달의 적외선을 측정한 값이다.달 표면의 온도를 달의 전 지역에서 구하긴 LRO의 자료가 처음이다. 이 데이터에서 ...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1839년 프랑스의 발명가 루이 다게르는 인류 최초의 사진을 찍었다. 그 뒤 카메라는 대형 기계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로 발전하며 총천연색을 그대로 담는 수준까지 진화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선 카메라가 아예 풍경과 인물 촬영이라는 오랜 기능에서 벗어나 새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뱃속을 돌아다 ...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과학동아 l2009년 10호
- 1990년 UN국제행동연구소는 대한민국을 물 부족 국가로 지정했다. 하지만 당시 국민들에겐 대수롭지 않은 일이었다. 월별 강수량의 차이가 커서 생긴 결과일 뿐, 댐이나 저수지에 물을 모아두고 사용하면 생활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러는 동안 한반도는 점점 가물었다. 봄 가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