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미래 필즈상을 꿈꾼다! 도전! 수학 골든벨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파리 세계수학자대회에서 20세기 수학자가 풀어야 하는 난제 23개를 발표해 수학의 모든 분야는 물론 다른 학문에도 영향을 줬다. 이 사람은 누구인가?아래의 그림과 같이 수가 나열되어 있을 때, 1/10은 몇 번째 나타나는가? 수는 1/1을 시작으로 붉은선을 따라가면서 세고, 기약분수는 제외한다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임무 를 수행하기 위해 수많은 전자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실 험 전날 점검하는 데만 모든 팀원들이 꼬박 밤을 새야 한다. 아무리 꼼꼼히 점검해도 막상 바다에 가면 꼭 말 썽이 일어난다.앞으로는 실제 로봇을 통한 검증뿐만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 ...
- 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생겨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보존되는 물리량이 있을 때, 대칭이 깊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그녀는 모든 물리량 보존에는 그것과 관련된 대칭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지요.뇌터의 정리에 살이 붙고 붙어 1954년 중요한 이론이 발표됩니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이론물리학을 연구하던 중국인 양전닝과 미국인 ... ...
- “지구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호섬으로 떠나자”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산호를 관찰하고 맹그로브 숲과 환초를 탐방한다. 항공료와 숙박비, 식비 등 모든 비용은 KIOST가 지원한다. ▶ 동영상이 잘 안보이시면 옆의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 http://www.youtube.com/watch?v=FQqT9TFoCW ...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평등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0뮤지컬 ‘맘마미아’에서 주인공 엄마는 ‘승자가 모든 걸 독차지하지(The winner takes it all)’라고 노래한다. 소득 불평등에 딱 맞는 말이다. 실제로 2012년 미국에서는 소득 상위 20%가 전체 소득의 51%를 가져갔다. 하위 20%의 전체 소득은 3.2%에 불과했다. 우리나라도 ...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구식이지 만 파괴력은 2kt(킬로톤)에 달했다.“일제 공격!” 사령관의 명령이 떨어지자 모든 트러블 후터는 시커멓게 데슬레이터를 향해 날아들었다. 전파 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움직이니 서로 충돌하는 일도 없 었고, 서너 대가 격추되면 높은 하늘에서 대기하고 있 던 예비 드론이 빈자리를 메우며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독특한 형태의 렌즈를 개발했다. 렌즈의 한쪽 면을 좀 복잡한 형태의 곡면으로 만들어 모든 빛을 한 점으로 모이게 조정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런 구조가 삼엽충에도 발견된다! 파콥스의 친척인 크로조나스피스 스트루베이(Crozonaspis struvei , 약 4억6000만 년 전)의 눈을 정밀하게 조사한 결과, 이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는 곳은 DGIST 대학원의 ‘뉴바이올로지 전공’이다. 이름이 특이하다 싶었는데, DGIST는 모든 대학원 전공이 다 융·복합 분야다(INSIDE 참고). 뉴바이올로지 전공에도, 남 교수가 이끄는 식물노화 외에, 동물 및 신경노화(친고령·항노화연구센터), 복잡계 및 시스템생물학, 계산 및 빅데이터생물학,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간격으로 그렸습니다. 그리고 각 위치를 태양과 연결해 삼각형을 만들었습니다. 그러자 모든 경우 시간당 움직인 면적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바로 오늘날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으로 알려진 케플러 제2법칙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뉴턴은 삼각형을 점점 더 작은 ...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다.과학은 직설적이고 편견이 없다. “검증된 실험 방법과 정확한 통계를 이용해서 모든 이를 객관적으로 설득해야 연구를 인정받는다”고 표현했다. 반면에 예술 작품은 백인백색, 아무나 마음대로 해석해도 된다. ‘생명과학’ 시리즈를 보고 역겨움, 호기심, 충격, 야릇함 등 무엇을 느끼든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