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어떤 모양과 어떤 크기로 발현되는지를 결정해 주는 정보가 들어 있다. 동물의 경우도
마찬가지
다. 수정란은 그것이 앞으로 어떤 모양과 크기의 동물로 발전할지 매우 세밀한 데까지 결정해 주는 정보의 결합체다. 수동적으로 다른 생물체에 의해 이용되기 위해 있는 정보가 아니라, 때를 기다리다가 ... ...
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게임 오름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갖춘 멀티미디어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지향하는 것은 컴퓨터 게임 역시
마찬가지
다.보다 사실적인 그래픽과 생생한 사운드, 음성을 구현하기 위해 그리고 특정 장르만 고집하지 않고 보다 다양한 장르로 진출하기 위해 컴퓨터 게임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자신들의 약점을 보완해 줄 수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거의 확실한 블랙홀의 후보로 알려지고 있다.X선망원경으로 관측된 결과는 전파망원경과
마찬가지
로 도달하는 X선의 강도에 따라 등고선이 그려진다. 천체로부터 방출되는 X선은 몇몇 대상을 제외하고는 그 세기가 매우 미약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X선 천문학자들은 보다 감도가 좋은 검출기 개발에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있는데 한개의 잎이 비스듬히 나와서 꽃이 진 다음 20cm 내외로 자란다. 여느 바람꽃들과
마찬가지
로 이 꽃의 잎도 엽병(잎을 지탱하는 꼭지) 끝에서 세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세개씩 갈라진다. 꽃줄기는 한개인데(높이 15cm 정도) 그 끝에 한개의 커다란 꽃이 달린다. 꽃잎같은 꽃받침잎은 꽃 하나에 8~1 ... ...
노화(老化) 규명에 서광이 비친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생물종에서 건강한 상태 그대로 수명을 연장한다면 그것은 바로 불로초를 구하는 것과
마찬가지
기 때문이다. 로스의 공동연구자들은 보통보다도 건강한 파리를 얻은 것만도 큰 성과라고 말하고 있다.앞으로 문제는 보통파리와 슈퍼파리의 차이를 설명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명확히 밝히는 것. 로즈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있었으나 그 이듬해인 1977년에는 2천3백96명이 인공수정을 희망했다. 프랑스의 경우도
마찬가지
다. 1973년에는 약 2백명이 인공수정을 원했으나 5년 뒤인 1978년에는 그 수가 1천8백명으로 늘었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만명의 신생아가 비배우자인공수정을 통해 태어나고 있다고 한다.인공수정 희망자의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있는 컴퓨터공학과의 접목으로 게임은 눈부신 팽창을 거듭하고 있다. 다른 기술분야와
마찬가지
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특히 게임 소프트웨어 분야는 미국과 일본의 독무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음악으로 표현하자면 '악기'라는 '하드웨어'에서 연주될 '곡'이라 비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관한 한 인간의 눈은 반(半)장님이나
마찬가지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파를 볼 수 있는 새로운 안경을 껴야 한다.별이 밤하늘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것은 그들이 빛을 내기 때문이고, 인간이 그 빛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우주가 단지 별만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만약 전파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다음부터는 계속 반복작업일 뿐이다. 작업환경이 어려워져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
다.그러나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수리작업, 우주선에서의 보수작업 등은 반복작업이라기 보다 계속 바뀌어지는 작업성질 때문에 프로그램저장의 의미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인간이 직접 작업할 수 없는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있고 해서 처음에는 재미있었는데 멀미가 시작되니까 정신이 없더군요. 어느 연구나
마찬가지
겠지만 특히 해양연구에는 건강과 인내심이 우선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탐사에 임하는 도중 문득 '학생들에게 혹시 소홀함이 없었는가' 하고 되돌아보게 됐어요. 배타고 고생하는 것도 연구의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