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과학뉴스] 3년 만의 우주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 있는 개기월식이 일어난 것은 3년 만이다.전국 곳곳에서 월식 관찰이 이뤄졌다.
한국
천문연구원은 서울, 부산, 광주 등 전국의 아마추어 및 전문 천체사진가들이 찍은 월식 관측 사진을 공개했다. 이른 저녁부터 월식이 완전히 끝난 뒤까지 극적인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서울 용산에 위치한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텔레그램이 오히려 서버 압수수색에는 더 취약하다. 다만 독일에 있는 텔레그램 본사를
한국
사법기관이 직접 살펴볼 수는 없어 국가기관의 사찰을 피할 수 있다.비밀 채팅 정말 안전할까현재 발표된 내용에서 가장 안전한 방식은 서버도 복호키(암호를 푸는 열쇠)를 모르는 ‘비밀의 방(비밀 채팅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필요한 모든 부품과 기술도 스스로 개발했다. 다만 이런 성향은 약점이기도 했다. 최기혁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장은 “인도의 자립 전략은 인구가 많고 대규모 동원이 가능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맞지 않으며, 비효율적인 측면도 있다”고 밝혔다.성공 요인 2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도 김민식 미국 존스홉킨스대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행콕 교수는 “
한국
인 과학자의 리더십과 추진력, 협력하는 능력이 젊은 과학자들의 뛰어난 역량과 결합하면서 C-HPP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바로 출판사의 개국공신이다. 수학이나 다른 과학 분야 교재도 꾸준히 효자 노릇을 했다.
한국
물리학회와 함께 제작한 ‘물리학 용어사전’처럼 당장의 이익보다는 긴 호흡으로 의미를 찾는 책도 만들어 왔다. 누구나 쉽게 과학과 친해지게 해보자나름 자신감이 생기자 새로운 밥을 지어보기로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실물기지요. 현역에서 물러난 뒤에는 몸을 깨끗하게 단장하고 항공우주박물관에 모여
한국
공군기의 역사와 생김새를 보여 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국내에 세 대밖에 없다는 북한기도 볼 수 있답니다.그저 공군기를 감상하는 게 다냐구요? 아니에요. 커다란 제트엔진이나 수줍게 드러낸 비행기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능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 지켜보자.고(故) 최동원 선수는 1984년 삼성 라이온즈와의
한국
시리즈 7경기 중 5경기에 등판해 4승 1패 평균 자책점 1.80을 기록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롯데가 아닌 ‘최동원이 삼성을 이겼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이처럼 포스트시즌에 에이스가 중요하다는 것은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후로 국가 주도의 핵변환 연구는 거의 없다. 벨기에의 미라 프로젝트에는 SCK·CEN 소속
한국
인 과학자가 두 명 참여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국제공조는 전무하다. 학계에서는 황일순 교수가 미라 프로젝트와 비슷한 방식의 차세대원전(납냉각고속로)과 핵변환 기istockphoto술(파이로그린)을 ... ...
INTRO. 노벨과학상 2014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톰슨로이터에서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
계 미국인 과학자 찰스 리도 후보에 올라 어느 때보다 기대가 컸던 올해 노벨 과학상. 어떤 과학자가 영예를 안았는지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