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핵과학자들은 초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Z=2), 네온(Z=10), 아르곤(Z=18), 크립톤(Z=36) 등은 불활성 원소들로 주로 다른 원소들과 결합
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들원소는 원자가껍질이 전자로 다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전자의 경우와 비슷하게 원소의 원자핵도 이를 구성하는 양성자나 중성자가 각각의 궤도에 모두 다 채워질 때 ... ...
스페인 침몰 유조선 기름 제거 작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해 사용하는 약물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뇌의 시상하부-뇌하수체계가 제대로 작용
하지
않는 경우와 뇌하수체 호르몬의 균형이 나쁘기 때문에 일어나는 수가 많으므로 호르몬제를 투여하여 배란을 유발시킨다두 종류 이상의 원소가 화합해서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한쪽 원소의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지구에서 2백20만광년 떨어져 있어 북쪽하늘에 희미한 얼룩처럼 보인다.
하지
만 우리은하에 접근할수록 빛의 검처럼 점점 더 밝아질 것이다. 안드로메다은하가 우리은하와 충분히 가까워지면 크기가 수천광년인 거대 성간구름들이 압축된다. 압축된 덩어리들은 크리스마스트리의 전구처럼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발언권도 없다.“대륙에 기지를 세우면 다시 월동대장으로 나가는 게 꿈이지만….”
하지
만 그때는 정년 퇴임 후가 될지 몰라 그는 끝내 말을 잇지 못했다.장순근 박사가 걸어온 길1946년 함남 안변 출생1969년 서울대 지질학과 졸업1975년 서울대 지질학과 석사1980년 프랑스 보르도1대학 지질학 박사198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중 탄소골격에 다중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 이에 비해 탄소골격에 다중결합을 함유
하지
않는 화합물을 포화화합물이라고 한다작용기를 가지지 않는 탄화수소의 범위에는 2중결합 한 개를 가진 알켄, 3중결합 한 개를 가진 알킨이 대표적 불포화화합물이다고리식 탄소골격에 다중결합을 함유하는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때, 많은 획기적 방법들이‘쥐’에서‘사람’으로 넘어가는데 큰 좌절을 겪고 말았다.
하지
만 많은 이들이 이번만은 무사히 이 관문을 통과하길 바란다. 파킨슨병 치료법은 무하마드 알리가 걸린병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전세계 수백만 환자를 위해서이기 때문이다 ... ...
북한 핵개발 의혹 6문 6답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우라늄 원자폭탄을 개발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우라늄 농축을 직접
하지
않고 이를 외국으로부터 밀반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느슨한 보호망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농축 우라늄을 이미 들여와 핵폭탄을 개발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다. ‘더 무서운 무기’가 ... ...
세계 영재석학이 전하는 과학 영재교육의 노하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정해진 시간 안에 정해진 문제를 잘 푸는 학생이 있다.
하지
만 이런 상황을 좋아
하지
않고 반대로 자신이 발견한 문제를 놓고 장시간 해결하기를 좋아하는 학생도 있다. 따라서 학생이 자신의 선호에 따라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대회가 필요하다고 고르브코브스키 박사는 강조했다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에 속하는 광물이다 사각주상(四角柱狀) 또는 탁상(卓狀) 결정을 이루며 장석과 흡사
하지
만 광택이 강하고 기름기가 도는 듯이 보인다 로숑이 고안한 편광프리즘 직선편광을 만드는 장치의 하나이다 2개의 쐐기 모양의 방해석 프리즘을 접합시켜 만든다 1몰 내 의 분자수, 즉 아보가드로수(數)를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책임과 양심은 현재에 와서 과학자 자신의 양심문제에까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
만 국내에는 아직 과학자의 행동을 규제할만한 이렇다 할 제도나 규정이 없다. 송성수 박사는 “우리도 이제 과학의 발전만 외칠 것이 아니라, 올바른 과학 우리 모두를 위한 과학을 위해 과학자의 행동을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