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홍수
대수
d라이브러리
"
큰물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중국의 과학기술체제는 8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전환점을 맞았다. 1982년에 발표된 ‘경제발전은 과학기술에 의하지 않고는 이룰수 없다. 그리고 과학기술은 경제발전에 봉사하지않으면 안된다’고한 중앙의 방침과 1985년의 ‘과학기술체제 개혁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정’에 따라 과학기술 ... ...
개구리와 두꺼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양서류 중에서 꼬리없는 동물로 대표적인 것이 개구리와 두꺼비다. 개구리와 두꺼비는 극지(極地)와 더운 사막을 빼고는 지구의 거의 전지역에 널리 퍼져 살고 있으며 모양이나 크기도 무척 다양하다.가장 작은것은 겨우 1g밖에 되지 않으며 가장 큰것은 3kg이나 무게가 나간다. 먹이는 주로 곤충들 ... ...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국내에도 2만명의 환자가 있는 자폐증은 조기발견과 조기 특수교육을 요구한다.자폐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현재 절찬리에 상영 중인 영화 '레인맨'에 대해 잠시 언급한 뒤 자폐증이란 어떤 병인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영화의 줄거리를 간략히 소개하면 이렇다. 아버지 유산처리에 불만을 ... ...
암의 예측과 이에 따른 예방 5년이내 가능할 듯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누가 암에 취약하며, 그 암이 양성(良性)인지 악성인지 미리 판별할 수 있게 될 듯.지난 수년간 연구자들은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데 있어 일부 유전자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해 왔다. 아울러 특정 암에 걸리기 쉬운 사람이 따로 있을 것으로 추정, 암환자의 유전자를 면밀히 ... ...
통신시장개방, 정보예속 초래할 위험 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올여름 한·미간의 가장 뜨거운 핫이슈로 등장할 통신개방협상의 내용은 무엇이고 문제점은 무엇인가.한국에 대한 미국의 통신서비스시장 개방 압력이 노골화되고 있다. 지난 2월 23일 미국은 유럽공동체(EC)와 함께 개발도상국가로는 유일하게 한국을 통신분야의 '우선협상대상국'으로 지정했다.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배가 크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거대한 위용으로 한 시대를 풍미하고 후대에까지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배들이 있다.동서고금 역사상 각 시대에 등장했던 배의 종류는 다양하기 이를 데 없다. 인간의 지혜가 발달하지 못했던 원시시대에는 뗏목배(筏船) 가죽배(皮船) 통나무배(獨木舟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거짓말 위에 새빨간 거짓말, 그 위에 통계가 있다는 말이 있다. 정보화시대에서 매일 접하는 통계숫자를 바로 보려면··· 현대인의 일상 대화에는 각종 숫자가 들어가지 않은 것이 드물다. 예를들면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에서와 같이 식별을 위한 숫자가 있다. 또 키 몸무게 가옥의 면적등과 ... ...
탄력성있는 시멘트 개발에 열중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물대신 얼음가루를 시멘트에 섞거나 물에 계면활성제를 타서 시멘트와 혼합하면···요지부동으로만 보이는 시멘트도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용수철처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다는 얘기다.이렇게 '살아 있는' 시멘트를 만드는 최신 공법이 바로 MDF. Macro Defect Free의 약어로 '큰 결점(기포)이 없는'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화산도와 산호초로 이루어진 별처럼 많은 섬들. 그곳엔 아직 원시의 순수와 아름다움이 살아 있다.고고학이나 언어학자들은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지가 멜라네시아이며 궁극적으로는 아시아라고 보고 있다. 피지제도에서 사모아와 통가 두 제도에 이주한 사람들이 3세기경 마르케사스제도로 건너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바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계속 보여주는 곳. 이 바다를 잘 이용할 새로운 선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인간이 어떤 필요성에 의하여 물위를 타고 건너는 수단, 즉 선박을 만들어 쓰기 시작한 것은 약 6천년전의 일이다.오늘날 우리 인간이 배를 이용하는 것을 크게 나누어 본다면 두가지로 말할 수 있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