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기
초
생물학에서 질병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세계적으로도
초
기 단계이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면 국내에서도 독창적인 신약 개발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2002년 11월말 대한민국 우주개발 역사의 새장이 열렸다. 한국 최
초
의 액체로켓이 성공적으로 발사됐던 것. 이로써 2005년 우리 위성을 지구 궤도에 쏘아올릴 국산 우주발사체 개발 ...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2 국산
초
음속기 마의 음속 ... ...
자동 조율되는 피아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발해 올해 말에 시판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 피아노는 스위치를 켜고 약 40
초
만 기다리면 조율이 끝난다.피아노에 들어 있는 2백개의 현은 금속 핀에 감겨 있다. 조율사는 음이 낮으면 핀을 감아 현을 더욱 팽팽하게 만들고, 음이 너무 높으면 핀을 풀어 현을 좀 헐겁게 해 줌으로써 음을 맞춰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2002년 9월 벨연구소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사건을 가장 먼저 선정했다. 또한 2002년 9월
초
폐막된 요하네스버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소식에 맞춰 인류의 미래를 위한 ‘건강한 과학’ 연구를 주요 업적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말라리아의 게놈 해독이 이 부분에 포함됐다. ... ...
미 최
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발사는 취소된다. 우리도 실패의 경험은 있다. 지난 1995년 8월 5일발사된 우리나라 최
초
의 방송통신위성 무궁화 1호 발사 과정에서 보조 로켓의 분리장치가 오작동해 위성의 수명이 반토막 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인지1996년 1월 14일 예비위성인 무궁화 2호 발사에는 관계자들이 신경을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결과가 불투명한 이런 사업에 NSF 최대 연구비를 과감하게 투자하는 미국이 역시 기
초
과학 세계의 거인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왜 LIGO 같은 일을 하게 됐느냐는 질문에 책임자 중의 한 사람인 MIT의 와이스는 “아인슈타인을 존경하는 마음에 여기까지 오게 됐다”라고 대답했다고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가동시간 1
초
, 찍은 후 곧바로 촬영이 가능한 간격은 약 0.6
초
다. 내장메모리가 기본으로 탑재돼 있다. 기본적인 카메라 기능에 MP3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음성 녹음도 가능하다. 저소비전력, 저노이즈화의 이 제품은 2003년 세컨드카메라 시장을 이끌어나갈 주요 기기로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현황은 어떨까.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현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공동으로 1990년대
초
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해 2000년 10월에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한 군 전술용 무인기 ‘비조’가 있다. 민수용 무인기 분야는 비록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지만, 1992년-1997년 사이에 대우중공업이 러시아의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운영중이다.한국정보통신대(ICU) 이관수 교수는 외국기업에서 활동하다가 올해
초
정보통신부가 설립한 ICU에 바이오인포매틱스트랙이 생기면서 합류한 과학자다. 국제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학부와 대학원과정을 연계한 바이오인포매틱스 교육과정의 밑그림을 그리고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가장 특이한 점은 뭐니뭐니해도 토성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일 것이다. 이 고리는 17세기
초
이탈리아의 갈릴레이가 처음 관측하긴 했지만, 망원경이 그리 좋지 못해서 정확한 정체를 알 수 없었다고 한다. 토성 고리의 존재를 처음 밝혀낸 사람은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의 호이겐스다.토성의 고리는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