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주면서 뇌의 변화를 관찰했어요. 실험에 참여한 개 8마리 중에서 6마리가 화면을 30초 이상 집중해서 보았지요.연구팀은 화면을 집중해서 바라본 6마리 개의 뇌 변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개가 사물을 볼 때와 달리, 사람이나 개의 모습을 볼 때 뇌의 측두엽 부분이 활성화 되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약 3억 5000만~4억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또 알려진 것만 80만 종 이상, 그리고 개체수는 1000경 마리 정도일 거라고 해요. 이렇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은 곤충이 미래식량 유망주가 된 이유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실제로도 이미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맞이했지요.국립수목원은 천연 숲인 광릉숲 속에 6000종 이상의 식물과 4000종 이상의 곤충, 새, 물고기, 동물이 함께 살고 있는 자연의 보고예요. 그만큼 생물다양성이 뛰어나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했어요. 여름 숲캠프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국립수목원의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약 3억 5000만~4억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또 알려진 것만 80만 종 이상, 그리고 개체수는 1000경 마리 정도일 거라고 해요. 이렇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은 곤충이 미래식량 유망주가 된 이유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 실제로도 이미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똥을 깨끗한 물로 정화하는 기계의 이름은 ‘옴니 프로세서’예요. 이 기계는 똥을 1000℃ 이상의 고온으로 태워서 나오는 가스는 에너지로 쓰고, 깨끗하게 걸러낸 물은 식수로 만들어 내요. 고온으로 인해 발생한 순수한 수증기를 걸러내기 때문에 냄새도 나지 않지요. 위생 시설이 열악한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뉴호라이즌호가 엄청난 속도를 낸 데에는 이유가 있어요. 명왕성은 지구로부터 48억km 이상 떨어진 아주아주 먼 곳에 있거든요. 이 거리는 1초에 지구 7바퀴 반을 도는 빛의 속도로 날아가도 4시간 30분이나 걸리는 엄청난 거리랍니다.이렇게 먼 거리를 가야 하는 만큼 뉴호라이즌호를 제작하는 데는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시동을 걸면 축전지에 저장돼 있던 전기에너지가 엔진을 움직이기 시작하죠. 엔진은 2만V 이상의 강력한 전기로 연료에 불을 붙여 태워요. 이때 연료가 갖고 있던 에너지가 자동차의 피스톤을 움직이고, 이 힘이 다시 바퀴를 돌리는 거랍니다.그럼 연료에 어떻게 불이 붙을까요? 엔진을 움직이는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어류가 매우 좋아하는 먹이에요. 적당한 양이 있을 경우 해양생물이 모여들면서 이상적인 해양생태계가 만들어지지요. 그러나 양이 많아지면 적조가 물고기의 아가미에 달라붙어요. 물고기는 물을 마신 뒤 아가미를 이용해 산소를 흡수하고 물을 걸러내는데, 이 아가미에 끈적끈적한 적조류가 ...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더 크다고 해요. 또 뉴호라이즌호가 근접 촬영한 사진을 통해 명왕성 표면에 높이가 3500m 이상인 얼음산이 있는 게 밝혀졌어요.지금도 뉴호라이즌호는 1초에 약 2000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으며, 남은 16개월 동안 계속해서 명왕성에 대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예정이에요. 뉴호라이즌호가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외계행성과의 통신을 말하기도 하거든요. 이건 단순히 지상으로 전파를 쏘아 보내는 것 이상으로 복잡한 기술이 필요해요. 우주라는 공간의 특성 때문이에요.가장 큰 문제는 거리예요. 예를 들어 지구에서 화성과 통신한다면 한 번 신호를 보내는 데 최대 22분이 소요돼요. 스마트폰 메신저로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