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주면서 뇌의 변화를 관찰했어요. 실험에 참여한 개 8마리 중에서 6마리가 화면을 30초 이상 집중해서 보았지요.연구팀은 화면을 집중해서 바라본 6마리 개의 뇌 변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개가 사물을 볼 때와 달리, 사람이나 개의 모습을 볼 때 뇌의 측두엽 부분이 활성화 되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오므로 무리 내에 있는 새끼들 외에는 친족이 없어요. 그래서 자기 새끼들만 무사하면 더 이상 경고음을 발성할 필요가 없어요. 이런 차이 때문에 암컷이 수컷보다 경고음을 자주 내고, 훨씬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거랍니다.피는 물보다 진하다!1964년 윌리엄 해밀턴은 이타주의의 진화를 설명하기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약 3억 5000만~4억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또 알려진 것만 80만 종 이상, 그리고 개체수는 1000경 마리 정도일 거라고 해요. 이렇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은 곤충이 미래식량 유망주가 된 이유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실제로도 이미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약 3억 5000만~4억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또 알려진 것만 80만 종 이상, 그리고 개체수는 1000경 마리 정도일 거라고 해요. 이렇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은 곤충이 미래식량 유망주가 된 이유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 실제로도 이미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시동을 걸면 축전지에 저장돼 있던 전기에너지가 엔진을 움직이기 시작하죠. 엔진은 2만V 이상의 강력한 전기로 연료에 불을 붙여 태워요. 이때 연료가 갖고 있던 에너지가 자동차의 피스톤을 움직이고, 이 힘이 다시 바퀴를 돌리는 거랍니다.그럼 연료에 어떻게 불이 붙을까요? 엔진을 움직이는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똥을 깨끗한 물로 정화하는 기계의 이름은 ‘옴니 프로세서’예요. 이 기계는 똥을 1000℃ 이상의 고온으로 태워서 나오는 가스는 에너지로 쓰고, 깨끗하게 걸러낸 물은 식수로 만들어 내요. 고온으로 인해 발생한 순수한 수증기를 걸러내기 때문에 냄새도 나지 않지요. 위생 시설이 열악한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뉴호라이즌호가 엄청난 속도를 낸 데에는 이유가 있어요. 명왕성은 지구로부터 48억km 이상 떨어진 아주아주 먼 곳에 있거든요. 이 거리는 1초에 지구 7바퀴 반을 도는 빛의 속도로 날아가도 4시간 30분이나 걸리는 엄청난 거리랍니다.이렇게 먼 거리를 가야 하는 만큼 뉴호라이즌호를 제작하는 데는 ... ...
- 귀신 쫓는 퇴마사 ‘ 기싱 꿍꼬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커다란 아기 귀신이 썰렁홈즈에게 다가오는 게 아닌가!“응애응애~! 이 사탕 이상해 이상해! 엄마는 나한테 똑같은 사탕 두 개를 줄 테니 썰렁홈즈랑 나눠 먹으라고 말씀하셨어. 근데 봐 봐. 두 개의 사탕 크기가 다르다고!썰렁홈즈, 이게 어떻게 된 일이야? 썰렁홈즈가 더 큰 사탕 먹으려고 섞어 놓은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타이푼)’으로, 한자와 발음이 비슷하지요.태풍은 주로 적도 부근에 있는 수온 27℃ 이상의 열대 바다에서 만들어져요. 태풍의 중심에는 공기가 위쪽으로 향하는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는데,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수증기를 잔뜩 빨아들여 커다란 구름 떼를 이루지요. 이렇게 커진 태풍은 1초에 17m를 ...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반짝반짝 금모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때가 있어. 이건 설탕물이 ‘포화상태’가 됐기 때문이야. 포화상태란, 물속에 설탕이 더 이상 녹을 공간이 없어서 녹지 못하고 고체 상태로 남아 있는 걸 말해. 이럴땐 물을 더 넣어 주면 남은 설탕을 모두 녹일 수 있단다.힘이 더 센 물이 설탕을 녹인다설탕을 물에 넣으면 녹지만 기름에 넣으면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