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색깔을 좌표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빨간색은 A, 초록색은 B, 이렇게 색을 문자로 바꾸지. 예를 들어 빨간색 큐브 조각이 왼쪽 가장 아래 있다면 A(0,0,0)이라고 외우는 거야. 그리고 눈을 가린 뒤 큐브를 돌릴 때마다 주어진 문자의 좌표를 바꿔 가며 큐브를 맞추지.말만 들어도 어렵다고? 수학을 잘 ... ...
- 수학촌의 단짝친구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제4코스 신문지를 42번만 접으면 달까지!2의 거듭제곱의 힘을 살펴볼 수 있는 또다른 예로는 신문지가 있다.신문지 1장의 두께는 매우 얇아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10장을 겹쳐서 측정한 두께가 1mm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신문지 1장의 두께는 0.1mm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얇은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로 시작할 확률을 정리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구수의 예를 통해 벤포드의 법칙에 대해 간단히 접근해 보자. 한 도시의 인구가 10년 만에 1만 명에서 2만 명으로 증가했을 때, 다음 10년 뒤 인구는 어떻게 될까? 얼핏 3만 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실제 인구의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북극권인 그린랜드와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작은 주)에 살고 있는 ‘이누이트’가 그 예다. 이누이트는 과거에 ‘물고기를 날로 먹는 사람들’이란 의미의 인디언 말 ‘에스키모’로 불렸던 민족이다. 주로 수렵과 낚시로 식량을 조달했다. 그밖에 순록을 키워서 고기와 가죽을 얻고, 부족한 ...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흡사하다. 그들은 인공뼈에 혈액을 공급하는 기술을 완성해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할 예정이다.줄기세포를 층층이 쌓아올려 ‘살아 있는 장기’를 만들겠다는 발칙한 연구를 하는 과학자도 있다. 미국 미주리대 생물물리학자인 가보 포르가츠 박사는 20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하늘의 자손이라는 정신을 담고 싶었다”며 “에세이 ‘하늘을 잊은 하늘의 자손’이 예고편이라면 소설 개천기는 본편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1999년 ‘코리안 페스트’라는 한국형 과학소설(SF)을 발표하기도 했다.박석재 연구위원은 자신의 블로그(http://blog.naver.com/dr_blackhole)에서 독자들의 ...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불가능하지만 유전자를 더 해 만들어진 동물들이 이미 많은 사람들을 돕고 있어요. 예를 들어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사람에게 장기를 줄 수 있는 돼지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특정한 병에 걸리게 한 쥐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약을 개발할수 있게 도와 주고 있답니다." 염영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새해 아침이 밝았지만 추위 때문에 꼼짝 못하고 있는 닥터 그랜마예요. 아, 추워! 사람들도 겨울에는 꼼짝 안 하겠죠? 그렇다면 겨울이 지구를 ... 판단해 물 밖으로 나온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날개로 헤엄치다 힘들 때 나온다는 얘기예요. 우리는 평균 5.7분, 날개를 237번 흔들고 나오거든요 ...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0점에서 10점까지 자신이 생각하는 점수를 매기면 로스웰의 행복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➊번 8점, ➋번 7점, ➌번 6점, ➍번 5점일 경우, 행복지수 공식에 대입하면 나의 행복지수는 (8+7)+5×6+3×5=60(점)이다. 친구들과 행복지수를 구해 서로 비교해 보자. 한국인 맞춤 행복지수도 있다 ...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술을 만들 때 사용했던 곰팡이인 흑국균(Aspergillus niger)으로 우사기를 복원한 거예요.”와~, 곰팡이 덕분에 격동의 세월을 지나 50년 만에 전통을 부활시킨 셈이네요. 곰팡이만 잘 보관해도 우리 전통과 맛을 보존할 수 있다는 얘기군요!“네, 메주를 집에서 빚어 장을 담그던 세대가 사라지기 전에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