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가 대표적이다. 2007년 일반인들의 과학 학습 모임으로 시작한 박자세는 2009년부터 해외 학습탐사를 연간 2회씩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몽골과 서호주, 백두산 등 지구와 한반도 역사의 비밀을 간직한 곳을 탐험해 왔다.참가자들은 폼나는 해외여행 대신 차를 타고 수백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나라는 지난 3월부터 암 환자가 NGS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암 진단을 받지 않은 건강한 사람이 암 여부를 알기 위해 NGS 검사를 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사람에게도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의학을 공부하다 보면 우리 몸의 치밀하고 꼼꼼한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빵들이 부풀어 오르는 모습이 보였다. 열을 가하자 화학팽창제만 넣은 반죽들도 커지기 시작했다.오븐에서 갓 꺼낸 빵들은 맨 처음에 똑같은 크기로 빚었던 반죽을 구운 게 과연 맞나 싶을 정도로 각기 달랐다. 가장 컸던 것은 생이스트를 넣은 빵이었다. 발효 속도가 가장 빠른 덕분이다. 그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월 중순이 되면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해요. 그러면 노루귀가 땅 밖으로 고개를 쏙 내밀지요. 눈을 헤치고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파설초’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노루귀의 모습을 보면 이름의 뜻을 바로 알아챌 수 있어요. 잎의 모습이 노루의 귀를 닮았거든요. 새끼손가락 하나 정도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고난은 블랙 펄의 부선장이었던 바르보사의 반란으로 배를 빼앗긴 사건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1편에서 잭은 작은 나룻배에 해적 깃발을 달고 등장하는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블랙 펄의 주인은 분명 잭이지만, 잭이 배를 타고 있는 시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 과연 잭이 정말 배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보안요원 몇 명이 튀어나오더니 엘리베이터 앞에 자리를 잡고 신분증을 하나씩 확인하기 시작했다. 마고는 이제 높은 곳에 자리잡은 채 가만히 떠 있었다.하림은 마고의 눈길을 피해 슬그머니 다시 화장실로 돌아갔다. 서둘러 화장을 지우고 안경과 모자를 벗었다. 눈에 띄지 않게 다시 섞이려면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플라잉카는 20년 이상의 연구개발을 거쳐 탄생했다. 1990년부터 콘셉트 디자인을 시작했고, 2014년에는 실제 사람을 태우고 비행하는 모습이 동영상으로 공개됐다.불필요한 부품을 달고 있어서 비효율적이라는 기존의 인식과 달리 연비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1L의 휘발유로 약 12.5km를 달릴 수 있어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 있었다”고 말했다. 1986년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한 뒤, 1998년에는 LPS의 유전자 분석까지 마쳤다. 보이틀러 교수는 “수행비서까지 연구를 도울 정도로 모두가 목표를 향해 똘똘 뭉쳤다”며 “오랜 연구에서 성과를 얻었을 때 느낀 만족감은 그 어떤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디야 커피의 질소 커피는 출시 20일만에 20만 잔이 판매됐으며, 올해 4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스타벅스 역시 질소 커피를 판매하는 가맹점 수를 계속 늘리고 있다. 식품계의 얼리어답터라 자부하는 기자가 질소 커피를 마셔보고, 인기 비결을 분석했다.맥주인 듯 맥주 아닌 맥주 같은 커피!질소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은 불멸자는 몇이나 될까? 불멸자들은 팽창주의 세력이 역사를 삭제하고 다시 쓰기 시작한 순간부터 서로 연락을 끊고 각자 임무를 수행했다. 한 명이 죽고 그가 모은 데이터베이스가 와해되더라도 다른 불멸자들은 살아남기 위해서였다.마지막으로 작별 인사를 했을 당시 남아 있던 불멸자는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