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체험으로 시작하는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나노과학에 관심이 있어요.” “평소에 플라스마가 뭔지 알고 싶었어요.” “과학 실험할 때가 가장 즐거워요.”30 ... 설명을 찾느라 땀을 뻘뻘 흘렸다. 그러나 호기심이 많은 학생들을 바라보는 이들의 눈
빛
에는 미래의 과학자들에 대한 기대감이 느껴졌다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름달 그림자 무지개 자동차 그리고 비행기.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밤하늘을 훤히 비추는 보름달과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사이에 숨어 ... 또다른 태양을 찾아 떠나야만 한다. 그리고 그때가 되면 새로운 행성의 하늘에서 밝게
빛
나는 2개 혹은 3개의 태양을 볼 수 있지 않을까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파장영역과 필름이 감지하는 파장영역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필름은 미약한
빛
을 축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일단 하늘이 매우 맑은 날 야외에서 이 부근을 살펴보도록 하자. 어두운 대상이니 은하수가 뚜렷이 보이는 장소여야 한다. 먼저 일등성 데네브를 찾는다. 데네브의 북쪽을 조심스레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벗어난 궤도를 돈다. 또한 대부분 위성과는 반대방향으로 공전한다. 뿐만 아니라 태양
빛
이 고작 6%만 반사돼 매우 어둡다.이처럼 유별난 행동을 보이는 포이베에 대해 천문학자들은 나머지 토성 위성과는 달리 태양계 외부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닌가 하는 궁금증을 오랫동안 가져왔다.이번에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부족함이 많다.불의의 사고로 시력과 청력을 잃고 시름에 빠진 사람들에게 다시 삶의
빛
을 되돌려 주는 인공시청각부터 자동차 사고를 원천적으로 막아주는 충돌방지기술까지 각기 특색있고 미래 지향적인 연구들이 소개된다. 외모 콤플렉스나 업무상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현대인에게 자신감과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기능이 더욱 요구된다. 통풍이 잘 되고, 가볍고, 방풍이나 방수 기능이 뛰어나며,
빛
이나 열에 강한 섬유 등 용도에 따라 기능도 크게 다르다. 최근에는 스포츠 의류와 거리 패션의 구분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따라서 스포츠나 레저용 의류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점점 더 다양화, ... ...
토종 검색엔진 달고 훨훨 나는 NHN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는 몇년 전까지만 해도 야후,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에 밀려 별로
빛
을 보지 못했다. 네이버는 5년 전만해도 국내 8위의 포털사이트였으나 검색엔진 개발을 통해 파죽지세로 성장, 요즘은 다음과 뜨거운 1위 다툼을 벌이고 있다.NHN의 매출액은 2000년 88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천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등에서 국부적으로 온도가 균일하고 열역학적 평형이 유지되는 상태 이때의 열평형은
빛
의 흡수 · 방출이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따르고 원천함수(源泉函數)가 플랑크의 복사함수로 주어질 때를 말한다태양의 코로나 ·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 성간공간(星間空間)처럼 밀도가 작은 가스체에서는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눈보라에도 견딜 수 있는 두툼한 털을 가진 추위에 강한 동물이다. 또한 사람은
빛
이 있어야 볼 수 있으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빛
, 다르게 말하면 불이 필요하지만 개는 사정이 다르다. 개는 시력이 매우 나빠 대부분의 지각을 후각과 청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 불을 지펴도 눈앞이 깜깜하긴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성운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시에다. 그는 1764년 이 성단이 뿌연
빛
들에 둘러싸여 있음을 발견했다.성운과 성단이 함께 존재하는 매우 복잡한 형태인 M16은 천문학적으로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그래서 수많은 천문학자들을 매료시켜 왔다. 어떤 천문학자들은 독수리성운을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