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원하는 물질을 얻어내는 ‘생물화학공학’을 공부하기로 하고, 미국 리하이(LEIGHT) 대학교 ‘생물화학공학과’를 택했다. 미생물의 생명현상과 화학적 처리는 물론, 이런 과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공학기술까지 함께 배우는 융합 학문이다.리하이 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베슬리헴(Bethlehem) 에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잡혀가는 상황 속에서, 현실적으로 수업을 집중해서 듣는다는 건 불가능해 보였다. 대학교 2학년 때 전공을 ‘수학과’로 결정한 뒤 본격적인 공부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나서야 시작할 수 있었다. 공부에 집중할 수 없었던 학부 시절을 보낸 제자들이 안타까운 지도 교수님은 다음과 같은 조언으로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었다고 한다. 그는 10대 시절 여동생을 백혈병으로 잃은 뒤 의사가 되려고 했다. 그러나 대학교에서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제임스 왓슨의 분자생물학 교과서를 읽고 나서 생명과학자의 길로 들어선다. 대학을 졸업할 때 이미 ‘네이처’에 논문 한 편, ‘분자생물학회지’에 논문 2편을 발표해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연구 리더를 양성하고 있는 최성현 교수를 만났다. 그는 과학고와 KAIST를 나와 현재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남들이 보기엔 엘리트 코스를 밟은 것 같지만 자신은 운이 좋은 편이라며 겸손해 한다.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다 보면 좋아하는 분야가 생기고 그렇게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유학을 결정하는 큰 계기가 됐다. 결국 오 교수는 박사과정을 공부하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 버클리)로 떠났다.박사과정 때도 오 교수의 전공은 기계공학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CNC(수치제어) 분야에 흥미를 느꼈다. 쉽게 말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자동화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열심히 하지도 않았다. ‘방황’과 ‘고민’이라는 두 단어로 세월을 보냈다. 그렇게 대학교 1학년 시절은 ‘학사경고’와 함께 화려하게(?) 마침표를 찍었다. 그런데 대학생이 되고 나니 가야 할 방향을 잃은 것 같았다. 뭔가 변화가 필요했다. 어차피 다녀와야 할 군대라면 빨리 갔다 오자고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헤이 리드~. 와썹! 요즘 사업이 잘나가고 있다며?”“땡큐 빌~! 다 수학 덕분이죠! 그런데 오늘 우리 수학 CEO들의 모임에 특별한 손님들이 온다면서요?”“맞네. 오늘 한국에서 특별한 손님들이 오기로 돼 있지.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 회사 사장님들이야. 우리 매스 CEO 클럽(Math CEO Club)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행동과 초음파의 형태나 주파수 같은 정보를 기록하기도 한다. 박쥐 연구자인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박시룡 교수는 “초음파 탐지 기록 자료가 많아지면 초음파 정보만으로 당시 박쥐가 어떤 행동을 했는지 알 수 있다”라고 말한다.동물언어 응용기술동물언어, 미래 기술을 열다훌륭한 발표 ... ...
- 수학은 우리의 VIP! 북일고 Math VIP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견문을 넓힐 예정이다. 작년 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수학문화축전에 참가했던 것과, 단국대학교 응용수학과 이민섭 교수님을 초청해서 암호와 수학에 대한 흥미로운 강의를 들었던 것이 인상깊었기 때문이다.특히 동아리원들은 이민섭 교수님의 강의에서 수학이 실생활에 어떻게 쓰이는지 배울 수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박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센터장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를 맡고 있다.그는 중국의 사막화와 빈곤국 식량문제를 고구마로 해결하기 위해 뛰고 있다.이 글도 우리나라, 카자흐스탄, 중국을 오가며 썼다sskwak@kribb.re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