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지구온난화, 사람 못살게 된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유입됐다.이 그림에서 1만1천년 전에는 현재보다 더 많은 태양 에너지가 들어오는 경우 그림자 지게 했는데, 여기서 북반구에서는 태양 에너지가 많이 들어오고 남반구에서는 감소되는 것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북반구에서 기후의 계절 변화는 지금보다 훨씬 더 컸고, 이에 따라 ...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지금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소규모의 충돌이 아니라 거대한 충돌이라는 이론이 있다(그림1). 이 이론은 1970년대에 탄생한 것으로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즉 화성 만한 크기의 물체가 지구와 충돌하여 그 충돌의 힘으로 퍼져나간 잔재들로 달이 생성되었다는 이론이다. (그림2)는 컴퓨터 모의실험에 ... ...
- 극저온물리학의 선봉 헬륨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펌핑하여 압력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 이를 액체헬륨의 증발냉동이라 부른다. 상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을 1기압 이하로 낮추면 끓는점이 낮아지므로 온도가 내려간다. 즉 액체헬륨을 펌핑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이 때문에 액체헬륨의 증발이 가속된다.그리고 이렇게 증발되는 헬륨기체는 ... ...
- (3) '초봄이 한여름' '한여름이 가을'의 대이변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이를 계속 사용해온 결과 수십년 사이에도 표준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됐다.(그림1)은 일본의 연평균 기온과 영국의 연평균 기온의 연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해마다 복잡하게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경향은 1910년 무렵은 낮아지고 그 후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 ...
- 미생물로 석탄오염 말끔히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석탄으로부터 많은 양의 유황을 제거할 수 있다.가장 보편적인 석탄의 미생물 탈황공정(그림1)은 탄광에서 채광된 석탄을 곱게 분쇄, 물과 섞은 뒤에 세균을 접종해 반응조에 넣고, 세균의 성장에 필요한 소량의 무기염을 첨가한다. 반응조의 밑 바닥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석탄 입자가 잘 섞여 뭉치지 ... ...
- 화학- 연료, '일과 열'로 에너지 변환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모래와 섞어주는 석회석과 탄산나트륨은 모래를 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게 만들어준다(그림 1).이 밖에도 점토로부터 그릇을 만들고, 구리와 아연으로부터 황동을 만들고, 소금으로부터 수산화나트륨을 얻어내기 위해서 각각 연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물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 ...
- 월드컵 - 축구의 과학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기록해보면 마구잡이식으로 벌어지는 듯한 골인 장면이 의외로 일목요연함을 보인다(그림1).필자는 1984년부터 2년간 벌어진 유럽의 각종 리그전이나 유럽컵 경기에서 이루어진 1백50골을 대상으로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분석해 본 일이 있다. 이같은 분석은 축구가 공 하나를 넣기 위해 이리 저리 ... ...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우라늄235)보다 생성된 핵연료(플루토늄239)가 더 많아지기 때문에 증식로라고 부른다(그림2). 고속증식로는 우라늄 자원의 활용도를 60배 이상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고속증식로는 프랑스 일본 러시아 영국 등이 확보하고 있다. 재처리의 핵심재처리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다 쓴 핵연료에서 ...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것일까.우선 눈에 띄는 특징은 궤도반지름 분포에 일정한 틈새가 나타난다는 것이다(그림1). 주행성대(2AU-3.5AU) 안에 소행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다는 뜻. 이 틈새를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커크우드틈새'라고 부른다. 또한 주소행성대 바깔쪽으로 소행성들이 집단으로 몰려있는 지역이 ... ...
- 화학- 얼음이 물 끓이는 신비의 세계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증기압력은 물이 증기가 될 때 나타나는 압력입니다. 이를 입자의 관점에서 보면 (그림 1)과 같습니다.물의 온도가 올라갈수록 기체(수증기)가 되는 입자가 많아지게 되고 증기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지면 물이 끓게 됩니다. 물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물의 상평형'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